연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44
마르그리트 뒤라스 지음, 김인환 옮김 / 민음사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삶은 아주 일찍부터 너무 늦어 버렸다. 열여덟 살에 이미 돌이킬 수 없이 늦어 버렸다. 열여덟 살과 스물다섯 살 사이에 내 얼굴은 전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변해 갔다. 열여덟 살에 나는 늙어 있었다.˝

˝나는 항상 얼마나 슬펐던가. 내가 아주 꼬마였을 때 찍은 사진에서도 나는 그런 슬픔을 알아볼 수 있다. 오늘의 이 슬픔도 내가 항상 지니고 있던 것과 같은 것임을 느꼈기 때문에, 너무나도 나와 닮아 있기 때문에 나는 슬픔이 바로 내 이름 같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 나는 그에게 말한다. 이 슬픔이 내 연인이라고.˝

너무 일찍 늙어버린 소녀. 가족들에 대한 깊은 애증으로 이해 지쳐 버린 소녀.
무관심으로 중국인 남자를 만났지만 뒤늦게 깨닫게 되는 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다시 여름, 한정판 리커버)
박준 지음 / 난다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내가 좋아지는 시간》

˝스스로를 마음에 들이지 않은 채 삶의 많은 시간을 보낸다. 나는 왜 나밖에 되지 못할까 하는자조 섞인 물음도 자주 갖게 된다.

물론 아주 가끔, 내가 좋아지는 시간도 있다. 안타까운 것은 이 시간이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또 어떤 방법으로 이 시간을 불러들여야 할지 내가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나 자신을 좋아하려야 좋아할 수 없는 순간만은 잘 알고 있다. 가까운 이의 마음을 아프게 했을때, 스스로에게 당당하지 않을 때 좋음은 오지 않는다. 내가 남을 속였을 때도 좋음은 오지 않았지만 내가 나를 기만했을 때 이것은 더욱 멀어진다.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는 자책과 후회로 스스로의 마음을 더 괴롭게 할 때, 속은 내가 속인 나를 용서할 때, 가난이나 모자람 같은 것을 꾸미지 않고 드러내되 부끄러워하지 않을 때, 그제야 나는 나를 마음에 들어 할 채비를 하고 있는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기호 작가의 간결한 문장들 때문에 금방 읽어버리지만, 다 읽고 나면 뭔가 가슴이 아파 오느걸 느낀다.
이 불쌍한 시봉과 시봉의 친구를 어찌해야 할까?
사과를 강요하는 세상, 없는 죄도 만들어서 사과를 해야만 하는 세상.
맨마지막에 시연을 업고 한없이 걸어가는 시봉의 친구는 어디로 가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책중독자의 고백
톰 라비 지음, 김영선 옮김, 현태준 그림 / 돌베개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책방에만 가면 `정신줄을 놓는가? 잠시 시간을 때우기만 할 요량으로 들어갔다가 한참 후 적지 않은 책들을 옆구리에 끼고서야 책방을 나선 적이 있는가? 차곡차곡 쌓여 보기 좋게 진열된 수 많은 책들 사이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상하게 마음이 달뜨는가? 그 때문에 기분이 좋은가? 어쩌면, 좋아 죽을 지경인가?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그렇다‘이면, 당신의 앞날이 심히 험난할지 모른다. 나는 안다. 내가 그랬으니까. 나는 그 심원한 기쁨을 맛본 적이 있다. 그 힘이 유혹적이어서 포기할 수 없다는 걸 나는 안다.

그렇다. 나는 책 중독자다.˝

저자는 책중독자가 된 일과 책중독자의 유형등 책과 관련된 여러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책이다.
하지만 시간이 많이 남아 돈다면 모를까 그냥 심심풀이로 읽을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스물여섯 명의 인간, 아니 축축한 지하실에 갇힌 스물여섯 개의 살아 있는 기계였다.˝

빵공장에서 기계같이 일하는 이 스물여섯명의 사람들에겐 위층의 따냐라는 여직공이 희망이며, 빛이다.

˝모든 아름다움은 우리와 같이 막돼먹은 인간들의 마음속에도 존경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의 고된 노동일이 우리를 거세당한 소처럼 만들었을지라도, 그래도 우리는 여전히 인간으로 남아 있었으며,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우리도 역시 존경할 만한 그 무엇이 없이는 살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던 어느날 병사출신의 제빵공 사내가 새로 들어와서는 모든여인들이 자신을 사랑한다라는 허세를 부린다. 이 스물여섯명의 사내들은 따샤는 그럴 일이 없다면 이 사내와 내기를 하게 된다.
스물여섯명의 바램과는 달리 내기에서 지게 되고 이 사람들의 희망도 빛을 잃어버린다.
ㅡ 막심 고리끼 <스물여섯과 하나>

러시아의 단편모음인데 막심 고리끼 와 미하일 불가꼬프의 《철로된 목》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