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라 시대의 사랑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8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결혼을 결정한 페르미나 다사는 구혼자의 어떠한 장점보다는 시간의 한계인 스물한 번째 생일을 넘기지 않기 위해 결혼을 결정한다.

˝그녀는 항상 남편이 빌려준 인생을 살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자신만을 위해 건설한 거대한 행복의 제국을 다스리는 절대 군주였던 것이었다. 그가 이 세상 그 누구보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 그녀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오로지 자기를 위한 것이었으니, 그녀는 늘 남편의 신성한 하녀에 불과했다.˝

결혼생활에서 행복을 느끼지 못한 페르미나 다사는 남편의 죽음이후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편지를 꾸준하게 받게 된다. 그것은 인생과 사랑, 늙음과 죽음에 대한 명상에 관한 내용들이었다.

이 편지와 정기적인 모임으로 위로를 받은 페르미나 다사는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배를 타고 여행을 하자는 제안을 받고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이 여행으로 둘은 마치 ˝부부 생활의 지난한 고통의 언덕을 뛰어넘은 듯한˝ 연대감을 느낀다.

하지만 여행의 끝에서 다시는 둘이 헤어져서 살수없다는 것을 느끼고 배에서 내리지 않는 끊없는 여행을 다시 시작한다.

나이들어서 하는 사랑을 축복받지 못하는 두 사람의 마음이 안쓰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당신의 얼굴을 바라보기 위해 거울을 비춰 보듯이, 예술이라는 거울을 통해 당신의 영혼을 바라보라.‘
버나드 쇼의 멋진 명언을 조금 바꿔보고 싶다. 광고라는 거울을 통해 당신의 이루지 못한 욕망을 보듯이, 당신의 잃어버린 꿈을 되찾으려면 야생동물을 보라고 늑대와 한 집에서 살며 잃어버린 야생성을 되찾은 철학자처럼, 나도 동물을 바라볼 때마다 ‘그에겐 있고, 나에겐 없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아무 짐짝도 없이 자유로이 하늘을 날아오르는 새들을 통해 나는 ‘짐 없이 떠나는 배짱‘이 없는 나를 바라본다. 우리는 자신을 더 투명하게 바라보기 위해 타자라는 거울을 필요로 한다.˝


˝상대의 이야기를 듣는 것에서 공감은 시작된다. 이야기를 털어놓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단순한 몸짓에서 인간은 커다란 힘을 얻는다. 《오즈의 마법사 》에서 도로시, 허수아비, 양철나무꾼, 사자는 저마다 서로의 슬픈 사연을 털어놓음으로써 친구가 된다. 허수아비는 말한다. ‘난 뇌가 없어‘ 양철나무꾼은 말한다. ‘난 심장이 없어‘ 사자는 말한다. ‘난 동물의 왕인데, 사실 용기가 없는 겁쟁이야‘ 도로시는 겉보기엔 멀쩡하지만 심각한 결점을 갖고 있는데, 사실 그녀는 ‘꿈이 없는 소녀다‘ 그들은 저마다 심각한 인생의 타박상을 입었지만 누구도 서로를 타박하지 않는다. 항상 격려하고 서로를 믿고 도와준다. 그리하여 자신이 하지 않는데 서로를 향한 절묘한 리더쉽이 발휘된다. 그리하여 아무도 권력을 휘둘러 지배하지 않는 세상, 수평적 연대감을 통해서도 더 나은 세상을 향한 발걸음이 가능하다는 희망을 안겨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콜레라 시대의 사랑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남미 소설은 적응이 잘 안된다.
앞부분을 읽는데 좀 지루했다.

플로렌티노 아리사와 페르미나 다사는 결혼을 생각하며 삼년동안 편지를 주고 받을 뿐 잘 만나지 못한다.
페르미나 다사의 아버지가 반대하기 때문이다.
아주 오랫만에 만난 플로렌티노 아리사를 본 다사는 상상보다 못한 아리사에게 이별을 고한다.

페르미나 다사는 프랑스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온 명망있는 후베날 우르비노 박사와 결혼을 한다.
서로 사랑해서 한 결혼은 아니지만 싸우기도 하고 사랑하기도 하고 늙어서는 보살펴주기도 하면서 결혼생활을 하다 후베날 우르비노 박사가 나무에 떨어져 죽게 된다.

장례가 끝난 날 플로렌티노 아리사가 나타난다.
51년 9개월 4일이 지난날이었다.
아직도 사랑한다고 하면서.

1권의 얘기는 여기까지고 2편에서는 플로렌티노 아리사와 페르미나 다사의 두번째 사랑이야기가 시작될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백 모중석 스릴러 클럽 21
할런 코벤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의 실수로 살인전과자가 되버린 주인공.
주인공 주변에 또 살인이 일어나면서 당연히 의심부터 받게 되는 주인공.
우리는 너무나 쉽게 의심부터 하고 교도소를 나온 이후의 삶에는 관심도 없다.
아내를 위험에서 구하기 위해 이 전과자는 용기를 낸다.
아내의 핸드폰으로 분륜이 의심되는 동영상을 받으면서 이야기는 시작한다.

할렌코벤의 스타일처럼 마지막까지 사건의 내막을 알 수 없게 긴장감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정여울 지음 / 민음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디트]에서 나는 아름답고 치명적이고 범접 불가능한 팜무파탈이 아니라, 고독하고 우울하며 누구에게도 의지할 수 없는 백척간두에 선 한 여자의 고통을 본다. 유디트가 싸워야 했던 대상은 홀로페르네스뿐만이 아니라 그녀의 정절을 의심하는 사람들, 그녀가 책임져야 할지 모를 출산과 육아의 고통을 배가시키는 여성차별적 사회였다. 단지 여자라는 이유로 유디트는 반쪽짜리 영웅, 영원히 이해받지 못하는 비극적인 영웅이 되었다.˝
-프리드리히 헤벨 , [유디트] 중에서


˝피그말리온콤플렉스를 벗어나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에 대한 ‘선입견‘으로 타인의 삶을 재단하는 일을 멈추는 것이다.
버나드 쇼는 자신의 주체성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는 현대여성들에게 조언한다. 결코 자신의 피그말리온과는 결혼하지 말라고. 현대의 갈라테이아는 결코 피그말리온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상대방을 자신의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는 사람, 나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존중하는 사람과 깊은 교감을 나누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축복이다.˝ -조지 버나드 쇼 [피그말리온]에서


˝산티아고는 초원을 내달리는 거대한 사자의 꿈을 반복해서 꾼다. 바로 그 ‘거대한 사자의 이미지‘야말로 산티아고가 주변의 온갖 멸시 속에서도 남몰래 간직해 온 ‘진정한 자기 이미지‘인 것이다. 그가 다시 초원을 달리는 사자의 꿈을 꾸었다는 것은 그의 자존감이 여전히 무너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티아고는 겉보기엔 초라한 독거노인이지만 그 진정한 내면의 초상은 바로 초원을 달리는 거대한 사자였다. 산티아고는 만선의 꿈을 이루는 데는 실패했지만, 노인이 ‘사자의 꿈‘과 소년의 ‘우정‘을 되찾았다는 점에서 내면의 진정한 성공담이기도 하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