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회화는 문학적인 특성이 강하다. 문학적 특성이 강하다는 것은 그림의 형식 못지않게 내용, 그러니까 주제와 이야기를 중요하게 다룬다는 것을 뜻한다. 이야기를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게 전하기 위해 회화 형식은 이를 뒷받침하고 고양하는 데 종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장르의 특성상 역사화의 경우 유럽 어느나라나 매우 뚜렷한 문학성을 보이지만, 러시아는 유독 그 정도가 심하다. 러시아인 특유의 애국심과 남다른 문학적 기질이 영웅적이고 드라마틱하면서도 감정 표현이 풍부한 역사화를 양산한다.˝˝세계 최초의 사회주의혁이 일어난 나라답게 러시아 장르화는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 형태로 전개되어 갔다. 서유럽 장르화가 인상파 회화를 거치면서 부르조아 시민사회의 다양한 풍속도 함께 포괄해 간 것에 비해 러시아에서는 부르조아의 풍속이 혁명 이전의 짧은 기간 동안 스치듯 표현되는 정도에 그치고 만다. 그만큼 러시아 장르화는 갈수록 비장하고 비감한 주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이슈에 몰입하는 양상을 보였다.˝이제껏 잘몰랐던 러시아 미술공부를 확실하게 했다.그림들은 확실히 유럽의 그림들과 차별되고 역동적이며 그림속 이야기들은 러시아의 추위처럼 아름다웠다.
˝주인공 겐조는 외국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대학교 선생이다. 아내 오스미, 갑자기 눈앞에 나타난 양부 시마다의 금전 요구, 불쾌한 과거로 기억되는 양모와의 만남, 형제와의 친밀하지 못한 관계 등 ‘한눈팔기‘는 평범한 일상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통해 고독한 지식인 겐조의 추상적인 지적논리의 세계가 현실적인 생활 속에서 철저히 깨져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 해설 중에서-겐조에게는 누구하나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다.모두들 돈만 바라지 겐조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해주는 사람은 없다.하지만 그렇다고 겐조와 관계된 사람들이 나쁜것만 아닐지 모른다.아내는 사랑과 다정함을, 누이는 의리를, 양부는 도움을 원할 뿐이다. 지식인 겐조는 현실에서는 왜 더 외로운걸까?
˝우리가 말하는 ‘화려함‘은 주로 다른 곳에, 즉 모르는 사람의 집에 나온 파티에, 돈과 인기를 거머쥐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들의 삶에 있다. 우리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접 누릴 수 있는 것보다 휠씬 많은 유혹에 노출되는 것은 미디어가 지배하는 사회의 본질상 자명한 일이다. 우리는 이쪽에서 창문 너머로 그 유혹적인 것들을 엿보며 괴로워한다.˝˝우리는 균형감이 없는데다 자신의 가장 좋은 면을 보지 못한다. 우리는 단 한 사람이 아니다. 우리는 다수의 자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보다 나은 자아가 있음을 안다. 우리는 우리의 보다 나은 자아를, 대개는 우연히 그리고 너무 늦은 때에 만난다. 우리는 우리의 가장 큰 꿈과 관련해 의지의 박약에 시달린다. 행동하는 법을 모르진 않는다. 다만, 충분히 설득력 있는 형태로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찾아오는 최고의 통찰에 따라 행동하지 못 할 뿐이다.˝사실 앞서 읽은 알랭 드 보통의 책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 신선함은 떨어졌지만 보통만의 생각과 글들은 읽어볼만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