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 흑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6
스탕달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맨스물이라기보단 시대극과 정치극이 더 어울리는 책인거 같다.
그래서 읽는 속도가 더딜 수 밖에 없었다.
불안한 시대에 영민했지만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하고 야망에 의해 오히려 죽음을 선고받은 줄리엥을 연민의 눈으로 볼 밖에 없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07-12 01: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대학때 읽었는데 내용은 기억이 없고 작가이름만 딸랑 기억납니다 그래도 좋아요...인간은 인간이기에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직 프루스트의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할까.
조금이라도 프루스트가 어떤사람인지 무슨생각으로 글을 썼는지는 조금은 알게 해 주는 책이다.

잠들기전 묘사를 위해 30페이지를 썼다니 과연 프루스트의 책을 읽는건 도전이라 할 만 하다.
그렇지만 이 책을 읽으면 조금은 이해를 할 수 있다.

˝-너무 빨리 하지 마세요- 는 아마 프루스트의적 슬로건일 것이다. 그리고 너무 빨리 하지 않으면 생기는 이점은, 그러는 도중에 세상이 더 재미있어진다는 것이다.˝

프루스트는 천천히 생각하기, 기차표를 보며 상상하기등 일반적이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책을 쓸 수 있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과 흑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5
스탕달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어려운 내용이 아닌데도 페이지를 넘기가 힘들었다.

프랑스의 왕정복고의 시대에 비천한 신분이지만 영민하고 암기에 강한 쥘리엥 소렐은 라틴어 선생으로 개인교사가 된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더 높은 곳으로 오르기를 갈망하는 쥘리엥.
스토리보다는 쥘리엥의 심리를 다루는 소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운대도련님 2018-07-06 0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전을 읽으면 어떤 걸 얻을수있나요? 어떤 재미로 읽는거에용?

몽이엉덩이 2018-07-06 07: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굳이 고전을 읽을 이유는 없지만 소설은 시대상을 반영해서 역사를 알 수 있고 요즘 소설보다는 깊이가 있어요.

카알벨루치 2018-07-06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대학때 읽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
 
울분
필립 로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는 네 감정보다 큰 사람이 되어야 해. 너한테 이런 요구를 하는 건 내가 아니야.
인생이 요구하는 거야. 안 그러면 너는 네 감정에 쓸려가거릴 거야. 바다로 쓸려나가 두 번 다시 눈에 띄지 않을 거야. 감정은 인생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어. 감정은 가장 무시무시한 속임수를 쓸 수 있거든.˝

마커스의 엄마는 어떻게 알고 이런 얘기를 마커스에게 했을까?

˝ 매우 평범하고 우연적인, 심지어 희극적인 선택이 끔찍하고 불가해한 경로를 거쳐 생각지도 못했던 엄청난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1950년대초의 불편한 사이가 되버린 아버지를 떠나 대학생활을 시작한 마커스의 이야기.
마지막장은 쪼금은 마음이 짠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변 사람들에 이해, 공감, 수용받고 싶은 욕구는 생존에 필수적이다. 인간은 자신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자살하기도 하는 관계적 존재다. 소통을 위해 죽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러니도 잘못된 선택도 아니다.
이 책 페이지마다 나오는 말, 정신 질환을 앓으면서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겐 -인간관계가 가장 어렵다-죽도록 아픈데, 아니 죽음만이 유일한 해결책인데 숨겨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울증은 살아 있는 죽음이다. 살아 있는 죽음을 살 것인가, 죽음으로써 살 것인가.˝

정희진처럼 읽기는 어려울 거 같다.
그렇지만 책을 계속 읽기는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