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한길컬처북스 2
이부영 지음 / 한길사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무의식은 자아가 무의식을 경시하고 그것과의 대면을 피할 때, 자아로 하여금 그것을 보지 않을 수 없도록 자극함으로써무의식의 경향을 의식화할 수 있는 ‘기회‘ 를 자아에게 준다. 그리하여 인간의 삶 속에서 우리가 무수히 겪고 지나가야 하는 시련,고통, 갈등, 절망, 상실의 아픔이 자기성찰의 귀중한 기회이며 성숙에의 의미 있는 고통이듯이 우리는 언제나 무의식에서 올라오는 창조적 자극의 영향 아래 있고 때로는 그것이 고통스런 체험,심지어 신체적·정신적 병고의 시련으로 표현된다. 자아가 그 고통의 의미를 알아차리느냐 모르고 지나가느냐 하는 것은 순전히 자아의 문제이다.
- P38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사회적 요구만을 일방적으로 충족시키다 보면 마음 속에 살지 못한 채 억압된 무의식의 부분이점차 힘을 더하여 자동적으로 의식을 압박하기 시작하며, 의식의일방적인 외적 적응이 극에 다다르면 무의식의 보상기능도 상대적으로 격화되어 불어난 강물이 둑을 무너뜨리며 마을을 덮치듯무의식의 콤플렉스들이 의식을 휩쓸어버린다.
인간의 무의식은 본래 정신의 해리를 해소하고 의식과 무의식을통합한 전체정신을 실현하고자 하는 원동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의식으로부터 억압되어 무의식의 내용이 된 콤플렉스들은그대로 없어지거나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다시 의식화 될 기회를 가다리고 있거나 수시로 의식에 대한 보상기능을 통하여 의식화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의식의 경직된 태도 때문에 무의식의 보상이 급격하고도 과도하게 일어나면(과보상), 의식의 기능은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장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의 발전으로 점점 바보가 되어가는 인간들에게 보내는 경고의 책

"그러니까 자네는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하고 있군 그래."
"그렇게 말씀하셔도 좋습니다." 야만인은 반항적으로 말했다.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합니다."
"그렇다면 말할 것도 없이 나이를 먹어 추해지는 권리, 매독과암에 걸릴 권리, 먹을 것이 떨어지는 권리, 이가 들끓을 권리, 내일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서 끊임없이 불안에 떨 권리, 장티푸스에걸릴 권리, 온갖 표현할 수 없는 고민에 시달릴 권리도 요구하겠지?"
긴 침묵이 흘렀다.
"저는 그 모든 것을 요구합니다. 야만인이 마침내 입을 열었다.
- P3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스카 와일드 작품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2
오스카 와일드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카와일드의 매력과 글쓰기를 이해하기에는 아주 좋은 책인거 같다.
희곡 <샬로메>와 <진지해지는 것의 중요성>은 오스카의 대표작이 될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쾌락 - 세계의 고전 사상 7-001 (구) 문지 스펙트럼 1
에피쿠로스 지음, 오유석 옮김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뒤부분을 읽고 이해하기는 힘들었다.
대략적으로 이해할뿐...

XVI 우리는 젊은 사람을 행복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삶을 산 노인을 행복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젊은이는 혈기왕성해서, 운 hyche에 의해서 흐르는 물처럼 이리저리로 이끌려다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인은 마치항구에 닻을 내리듯, 자신의 노령에 닻을 내린다. 그래서 과거에는 꿈도 꾸어보지 못했던 좋은 일들을 감사히 안전한 곳으로 가져온다.
- P26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우리와 함께 있지 않으며, 죽음이오면 이미 우리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죽음은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 모두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산 사람에게는 아직 죽음이 오지 않았고, 죽은 사람은 이미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W TO READ 융 How To Read 시리즈
데이비드 테이시 지음, 박현순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앞서 읽었던 융의 책 덕분에 조금은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융은 프로이트를 읽을때와는 달리 아주 다른 세상을 이야기하는 건 같다.
나를 초월하는 상징적인 삶을 만나라고 하니...

전형적으로 신경증은 살기를 원하며, 표현되기 바라는 정신의 내용물들을 충분히 포괄할 수 있을 만큼 개인의 의식이 넓지 않을 때나타난다. 정신은 인위적인 속박, 예를 들면 끔찍이도 협소한 도덕적인 관점, 부적절한 자기 이미지 혹은 인격이 에너지를 질식시키고, 남용하게 만드는 태도들로 인해 야기되는 인위적인 속박을 참지 않는다. 살아내지 못한 삶은 신경증 형태로 드러나며, 신경증 속에는 그 환자가 찾고 있는 답이 놓여 있다.


신경증은 오직 자아의 거짓된 태도가 제거될 때에 한해 진실로 사라진다. 우리가 신경증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증이 우리를 치료한다. 사람은 병들지만, 그 병은 그 사람을 치유하기 위한 자연의 시도이며, 신경증에 걸린 사람이절대적으로 무가치한 것이라고 여기며 떨쳐버리려고 하는것은 우리가 그 어디에서도 결코 발견하지 못했던 진짜 황금을 포함하고 있다.
(전집) 제10권, 361절 - P121

융은 살면서 두 차례 세계대전을 겪었으며, 사회가 전쟁을 선호하는 것에 대해 여러 논문을 썼다. 그는 전쟁이 사회가 선호하는 부정적인 초월 형식이라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전쟁이 필요하다"라고 말할 때, 그들은 이성이라는 감옥에서 탈옥하고, 보통 다른 사람, 국가, 종족에게 해를 끼치는 일시적인 비이성에 빠져들 필요가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전쟁의 매력은 정신의 내면에 구축된부정적인 힘들이 다른 사람의 잘못으로 느껴진다는 사실이다. 만일그것이 외부로 투사되고, 그의 이웃과 정치적인 문제가 되어버리면, 부정적인 성질을 다루기가 더 쉽다. 융은 "전쟁이 일어나면 그들은 모두 기뻐한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전쟁은 우리들의 이성을 의례적으로 파기하는 것이며, 정상적인 수단으로 담아두기가 불가능했던 에너지들의 방출이기 때문이다. 파괴적인 폭발로부터 다른 것에 이르기까지, 범죄에서 집단학살 충동에 이르기까지, 방출되기 원하면서 표현될 수 없는 비합리성이 너무나 많기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비틀거릴 것이다. - P1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