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내용이 끌린다거나 글쓴이가 이 사람이기 때문에 책을 사거나 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자는 농부의 밥상이었고,후자는 하종강님의 책이다.

두 책 모두 "우와~~!!" 하면서 빌리거나 샀지만 읽지는 못했다.

엄밀히 말하면 읽다가 만 책들이다.

농부의 밥상은 3번정도 읽다가 말았던 것 같다.

 

참 이상한 일이지만, 어느 날 문득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 중에서  텔레파시(?)라고 해야 하나

암튼 그런 묘한 아우성이 들린다.

머리로든 마음으로든 당기는 그 책을 읽기 시작하면  고미숙님의 "호모 쿵푸스"에서 나오는

그 말.."온 몸에 진동이 느껴지듯" 책이 읽혀진다.

얼마전 지승호 님의 책을 읽다가 하종강님의 읽다 포기한 이 책이 무지하게 읽고 싶어졌다.

인절미에게 책을 빌려다 읽었는데 어찌나 재미있던지..

읽고 나서 그 책이 읽혀지지 않았던 그 무렵의 내 마음이 어떠했었던가가 떠오르며 반성되어

지기도 했었다.^^

그저께 다 읽은 농부의 밥상도 너~무 너무! 재미있게 읽었다.

 

읽히는 책에도 때가 있는데...

하물며......

우리 아이들에게도 "때"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아이들의 그 "때"를 여유롭게 천천히 기다려줄줄 하는 그런 엄마가 되었음 하는 바램이다.

읽히지 않는 책..내가 읽고 싶어 샀음에도 읽히지 않는 책을, 샀기 때문에 모조리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혀 읽어버리려 용을 쓸때도 있었다.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고, 부끄러운 지적 허영심이다.

쓸데없는 강박증이고 결벽증이다.

이런 어리석은 짓거리를 우리 아이들에게 하고 있지는 않은지..

천천히 천천히 아이들과 함꼐 하는 나를 돌이켜보고 다듬어본다.

천천히..조금씩..널널하게(?) 아이들과 함께 가고자 하면서도 가끔 나도 모르게

마음이 용을 쓸때가 있다.

책이 나를 불러 "온 몸이 진동하듯" 읽혀지듯이 우리 아이들에게도 "온 몸이 진동함"을

느낄 수 있는 그 "때"를 기다릴줄 아는 인내심을 가진 엄마여야 할텐데..

하지만 맨날 모자란 엄마노릇하는 내게 그 인내심이 가당키나 한지..--;

 

책을 읽으며 깨닫게 되는 세상의 이치...삶의 순리를 나와 딸들간에도 돌려 생각할수 있는

그런 지혜로움과 너그러움이 부디 내 속에서 생겨나길.....간절히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승호의 인터뷰집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길게는 사놓고 2년을 묵혀둔 책도 있다.

읽다보니 노무현 대통령 탄핵 즈음에 한 인터뷰도 있고, 가깝게는 2007년에 한 인터뷰도 있다.

 

한동안 소설책만 읽을때 남편에게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선배..이제 책은 소설책을 위주로 사야겠다. 봐봐..대학때 샀던 사회과학책 시대에 뒤떨어

지쟎아..사회과학은 시간이 흐르면 시대감이 없어지니 별로 소장할 가치는 없는것 같다.

소설은 봐봐..소설안에는 모든 것들이 녹아 있으니 언제든 다시 꺼내 읽어도 또 새롭다 아니가?"

그건 주구장창 소설만 읽어대던 내가 남편의 책읽기에 딴지를 걸려고 했던 말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의 그런 생각을 지승호 인터뷰집 세권이 뒤집어 버렸다.

시대감이라니...??

 

노무현 대통령 탄핵때 태어난 나의 둘째딸은 지금 5살이다.

이제 많이 커서 어린이집을 다니며 사람(?)구실을 좀 한다.

내 아이가 이제 '사람구실을 좀 할 만한 나이'가 될 동안 세상은 '사람 살만한' 곳이 되지

못한 듯 하다.

반대로 서민이 살기에는 헉헉 숨이 막힌다.

두 딸 대학을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니 앞이 캄캄하다.

짐승도 자식은 먹이고 보살펴 준다는데 나는 짐승이 하는 것 밖에는 하지 못하겠구나 하는

두려움도 든다.

 

이 책들을 읽고 나면 첫번쨰 드는 생각이

'어쩜 그리 4년전과 다른것이 없는지...'

'4년전 내용이 어쩜 지금과 이리 딱 들어맞는지...'

'이들은 돗자리 깔고 앉아도 되겠네~어쩜 지금을 그 때 딱 예언(?)했는지..'

이래서 빌어먹어도 배워야 되는 건가 싶다.

 

사회를 보는 눈을 좀 더 키워야 겠다.

그래야 이 빡쎈 사회에서 이리저리 치이지 않고 용쓰고 버티지 싶다.

지승호님의 인터뷰집 세 권이 그동안 편하게만 하려고 했던 나의 책읽기를 되돌아 보게 

해 주었다.

누군가 그랬다.

내게 힘이 되는 책읽기는 힘들고 괴로운 거라고...

좀 더 힘이 되는 책읽기를 해야 될 듯 싶다.

그래야 힘없는 아줌마가 세상에 이리저리 치이지만 않고 내 자리를 지킬 수 있을 듯 하다.

요즘은...참..세상이 무섭다...

힘을 기르자..힘...아는게 힘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년 4월 내맘대로 좋은책 - 책의날 특집 이벤트

 

1.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깔끔하게 한 줄이면 더 좋고, 길게는 두 줄 정도까지요.

-엄마노릇이 세상에서 젤 힘든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40을 바라보는 아줌마.

 

2. 일 년에 몇 권 정도 책을 읽으세요?

-작년에는 80권 정도


3. 지금까지 읽은 책 중에서 (어떤 의미에서건) 가장 충격적이었던 책은?

-당연히 대학 신입생때 읽었던 책 들 (변증법적 유물론,역사적 유물론,인간의 역사

 위기철의 노동자 이야기 주머니, 박완서 선생님의 책들)


 

 

 

 

4. 읽는 도중 3번 이상 웃었다, 라는 책이 있습니까?

-자신있게...오쿠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

 -로맨스 소설 내공 24년차로서 낄낄대며 읽어던 책 "영원, 그 가능성에 대하여"


 

 

 

 

5. 자신과 닮았다고 생각하는, 또는 닮고 싶은 책 속 인물은 누구인가요?

-애거서 그리스티의 소설에 나오는 "미스 마플"을 닮고 싶다.


 

 

 

 

6. 이 작가의 책만큼은 챙겨 읽는다, 누구일까요?

-미야베 미유키 (빌려 읽었던 한권 빼고 모두 사서 읽고 소장하고 있다!)


 

 

 

 

7. 남에게 선물로 줬던 책 중 기억에 남는 것이 있나요?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대학 스승이자 삶의 스승,아직도 내 인생의 나침반이신 교수님이 계신다.

그 분이 안계셨더라면 그렇게 치열하게 공부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여전히 일상적으로 잔잔하게 자신의 일-학문-을 하고 계실 교수님께 대학떄 감사의

뜻으로 이 책을 선물했었다. 내가 왜 그랬을까?? 부끄러워라~~

-"바다로 간 게으름뱅이"  친한 동생에게 꼭 주고 싶었던 책인데 절판되어 무척

안타까웠던 기억이 난다.

 


 

 

 

 

8. 소장하고 있는 책 중 가장 고가의 책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대학 때 산 "The new Harvard dictionary of music"

 

9. '책은 나의 oo(이)다'. oo는?

-책은 내 마음을 다스려 주는 안정제이다.

난 내 안에 "화"가 많다고 생각한다.

그 화가 밖으로 나오면 가장 많이 상처받을 사람은 내 사랑하는 두딸이 될것이다.

그래서 난 끊임없이 내 마음을 다스리려 노력한다.

그 노력은 세 가지인데 운동,피아노 연주,독서이다.

이 삼박자가 어우러져야 내 맘이 겨우 다스려지는 듯 하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겐 책이 참으로 고마운 존재인 것이다.^^


10. 이번 달에 읽은 책 중 '내맘대로 좋은 책'은 어떤 것일까요?

-4월에 읽은 책 중에는 "방황하는 칼날"

읽고 너무 마음이 아팠다. 그리고 남편에게도 권했었다.

두 딸을 키우는 우리 더 강한 부모가 되자는 얘기도 했었다.^^

-5월에는 공지영의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대여점에서 빌려 읽고 있는 중인데 구매할 예정이다. 두고두고 읽으면 내 딸들과의

소통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와 손톱
빌 밸린저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읽다보면 대충 짐작되는 결말^^ 허나 추리소설의 "고전"임은 인정할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황하는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딸가진 부모는 꼭 봐야된다고 남편에게 권한 책.남편도 읽고 적극 공감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