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기수 이야기 - 2007년 제52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이승우 외 지음 / 현대문학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여러사람의 단편을 모아놓은 책은 이상문학상 수상 소설집외에는 잘 사지 않는데

2007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은 수록된 작가들의 이름을 보고 덥석 사게 되었다.

보관함에도 담아놓지 않았고 한번도 사겠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서점에서 수록된

작가들을 보고 충동구매를 한 것이다.^^

이승우,김경욱,김애란,김중혁,박민규,전성태,편혜영,한강,이동하,박완서,이혜경....

 

이 중에서 젤 마음에 남는것은 김애란의 '성탄특선'이다.

대학다닐때 오빠와 함께 자취하던 그 시절이 생각나면서 내 마음속에 있던 가난과 외로움을

사정없이 들쑤셔놓은 작품이다. '달려라 아비'에서도 몇 편의 단편들에서 그런 감성을

무지 공감하면서,조금은 아파하면서 읽었던 기억이 있던 터라 김애란이라는 작가의 작품을

더 보고 싶었었는데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이 작가를 내 맘속에 찜해두었다.

 

그리고 박민규의 '누런 강 배 한척'..치매에 걸린 아내와 시간강사로 전전하는 딸과 든든하게

자신의 가정을 꾸리지 못하는 아들을 둔 어느 아버지의 애기이다.

사실 박민규의 소설은 하나도 읽어보지 못했다.익히 명성만 들었을 뿐이다.

최근에는 핑퐁의 리뷰와 작가의 사진을 보고 꾀나 특이한 소설을 쓰시는 분일거라는

생각을 했었다.

근데 이번에 본 박민규의 단편은 '아~박민규도 이런 소설을 쓰는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했다.

기회가 되면 박민규의 장편도 읽어봐야겠다.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는 이 혜경의 '한갓되이 풀잎만'도 좋았다.

독자에게 시시콜콜 이야기하지 않고 여지를 남겨두는 듯 해서 좋았던 것 같다.

왠지 요즘 소설들은 그 여지마저도 다 작가의 몫이 되어버린 듯하다는 생각을 했다.

 

...오랜만에 읽어본 수상작 소설집이 꽤 좋았다...

장편소설만 쭉 읽으신 분이라면 한번쯤은 2007현대문학상 소설집을 읽어보시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사불명 야샤르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알라딘에서 입소문난 소설이라기에 솔깃했고 한번도 읽어보지 못한 터키소설이라 보관함에 넣었다.

그리고 요즘 안좋은 일이 있는지라 기분전환겸 웃기는 소설이라기에 장바구니에 담았다.

책을 3분의 1쯤 읽었을때 슬슬 짜증이 났다.

난 원래 꼬이고 꼬이는 애기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난 별로 좋아하지 않는 걸로 끝나지만 정작 자신이 결코 원하지 않는데도 자꾸만 꼬이는 '야샤르'를

생각하면서 인내심을 갖고 쭈~욱 읽었다.

동사무소 직원의 실수로 사망신고가 되어 있는 야샤르가 주민증을 갖지 못해 일어나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들이 이 책의 전체 줄거리이다.

국가가 필요할때-빚탕감,군입대,정신병원,교도소등- 야샤르는 살아있는 사람이지만,

야샤르가 필요할때-주민증,유산상속,군제대,취직,집구하기 등등-국가는 야샤르를 죽은 사람취급 한다.

터키의 공공기관은 정말 그러한지는 모르겠지만 참으로 대단하다.

공무원도 대단하고...터키에서 공무원이 되면 정말 철밥통이겠다싶다..^^

터키의 교도소 역시 너무나 자유분방하다.저녁도 감방에서 요리해먹고 주문할 수 있는 식당도 있고..

 

결국...출소한뒤의 야샤르는 잘 살았을까?

그의 아들은 주민증이 나왔을까??

답답한 나라에서 순진하고 미련하기 그지없는 야샤르가 또 다른 학교라 불리는 '교도소'에서 나와

세상을 얼마나 영리하게 살아갈지 궁금하다.

야샤르~~부디..착한 안쉐와 행복하게 살아~~

안쉐는 정말 이 세상의 사람이 아닐꺼야...그렇게 착한 안쉐는 천사임이 틀림없어~~^^

 

....알라디너들의 리뷰를 좀 더 열심히 읽었더라면 아마 '생사불명 야샤르'를 읽지 않았을 것이다.

책을 다 읽고 도대체 왜들 '야샤르'를 좋아하나 리뷰를 다시 읽어보니...

"짜증난다...""에이~뷔웅신~~"이라는 글들이 눈에 띈다...

다른 분들도 비슷한 심정이었나보다...

 

다혈질인 분들은 이책을 보지 마시길, 부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에 대한 욕심이 과하지 않나 반성하는 의미에서 서점에 서서 이책을 읽어볼까나 하고

시도했었다.20분쯤 읽었을까~이렇게 읽는건 이책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알라딘에서 구입후 이 책을 읽고나서 느낀점은 "나도 떠날 수 있다!"였다.

여름이면 유독 여행기를 많이 읽게 된다.읽고나면 그냥 부러움만 가득할 뿐~

하지만  on the road를 읽고 나서는 "나도 떠날수 있다!"는 자신감과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게 된다. 아직은 너무 어린 나의 두딸들이 성인이 되면 남편과 나 손잡고 함 떠나볼란다.

사람이 사는데 그렇게 많은 것이 필요한건 아니다.

배낭 하나면 다 될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동안 소설을 읽으면서 "상상력"이라는 단어를 잊고 있었다.

후일담 소설,소소한 일상을 적어놓은 일기같은 소설들을 주로 읽다 새로운 시도로 읽게

된 캐비닛에서 그간 잊어버리고 있던 "상상력"을 깨달았다.

그래,소설은 작가의 무한한 "상상력"의 창작물이었었지~

뒷부분이 좀 잔혹하긴 했지만 처음부터 유지된 소설의 냉냉한(?) 어조가 잔혹함마저도,뭐라고 할까

마치 "냉동고에 1시간 정도 넣었다 꺼낸 잔혹함"으로 느껴졌다.

이것 역시 새로운 체험이었다.

2007년 나의 독서여행 첫 작품은 "소설적 상상력"을 맛본 캐비닛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