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태어나도 엄마 딸 ㅣ 다산책방 청소년문학 3
스즈키 루리카 지음, 이소담 옮김 / 놀(다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만에 소설을 읽다가 눈물 콧물을 쏟았는지 모른다.
한동안 마음을 울리는 소설을 만나지 못했던 탓일까?
스즈키 루리카의 <다시 태어나도 엄마 딸>은 막혔던 둑이 터지듯이 내 마음의 둑을 터뜨렸다.
그것도 아무 조짐도 없이 느닷없이 마지막에 가서 팡!하고 말이다.
그래서 아주 시원하게 울었다.
그래서 아주 마음놓고 울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는 역시나 작가인 스즈키 루리카에게서 찾지 않을 수 없는데, 그녀는 이제 열 다섯이 된 소녀 작가인 동시에 일본의 출판사 쇼가쿠칸에서 개최하는 '12세 문학상'을 3년 연속 수상한 그야말로 천재 작가다. Born to write이란 바로 이런 경우에 쓰는 게 아닐까 싶어진다.
여기까지는 대외적인 스즈키 루리카에 대한 설명(?)이라면 <다시 태어나도 엄마 딸>로 처음 만난 이 작가님에 대한 내 주관적인 느낌이자 첫인상은 작가 자신이 10대이기에 10대의 시선으로 본 어른들의 세상을 서사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외부의 세상을 깊게 들여다볼 줄 아는 맑고 밝은 눈을 가진 어른아이.
이런 속깊은 어린 친구가 옆에 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봤다.
친구하고픈 이 어린 작가님의 소설 <다시 태어나도 엄마 딸>에는 분명 작가 자신을 많이 닮았을 아이가 나온다.
이름은 하나미. 엄마와 단둘이 씩씩하게 살아가는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
하나미의 이름은 엄마가 지어준 것으로 엄마의 인생관이 고스란히 들어간 살아 있음에 감사한 마음이 담긴 것이다.
태어나서 아빠를 만나본 적이 없는 하나미가 아빠를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한 일.
아빠에 대한 이야기를 일체해주지 않는 엄마의 태도에 하나미는 아빠가 범죄자라 말을 못하는 게 아닐까 하는 귀엽고도 위험한 상상을 한다. 그러다 친구 유카와 아빠를 만나게 해주는 비밀스러운 일에 말리게(?) 되기도 한다.
하나미의 엄마는 일가친적 하나 없는 고아로 딸 하나미를 키우면서 남자들과 막노동판에서 육체노동을 하는 거친 직업을 가졌다. 그리고 가난한 탓에 반값 떨이 음식들로 식사를 하지만 언제나 대식가의 면모를 자랑하며 감사한 마음으로 맛있게 먹어치우는 쿨한 엄마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딸인 하나미도 엄마의 그런 면을 닮았다. 어쩌면 가난때문에 찌들고 멍든 동심을 가질 수도 있지만 하나미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참 쿨하다. 그런 하나미도 고민에 빠졌던 엄마의 혼담 이야기. 자신 때문에 엄마의 혼담이 거절당했다 생각한 하나미는 엄마의 행복을 위해 사라지려고 하지만 주인집 아들 겐토 덕분에 엄마의 사랑에 대한 확신을 얻게 된다. 하나미가 얼마나 엄마를 사랑하는지는 바로 이 책의 제목이 말해주고 있다. 사실 제목만 보고 딸이 시한부 인생인가?란 고리타분한 생각으로 큰 기대 없이 읽기 시작했다. 그래서 더욱 제목으로 사용된 저 말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머리를 아니 가슴을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나는 하나도 안 좋을 것 같지만 벌레든 동물이든 괜찮으니까 다시 태어나도 엄마의 딸이었으면 좋겠다."
만약 다시 태어난다면 무엇이 좋겠냐는 질문에 벌레가 좋겠다는 엄마나 그런 엄마의 대답에 저런 생각을 하는 딸이라니 이 모녀는 정말 밑도 끝도 없이 돌발적이면서 쿨하고 너무나도 따뜻하다. 그런 부분이 가장 잘 드러나는 시간은 두 사람이 함께 식탁에 앉았을 때가 아닐까 싶다. 책의 마지막 장에는 하나미를 짝사랑하는 신야가 나오는데 유약한 분위기의 이 소년이 다리 위에서 위험한 생각을 하고 있다 하나미와 하나미의 엄마를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 신야를 저녁식사에 초대한 두 사람.
"슬플 때는 배가 고프면 더 슬퍼져. 괴로워지지. 그럴 때는 밥을 먹어. 혹시 죽어버리고 싶을 만큼 슬픈 일이 생기면 일단 밥을 먹으렴. 한 끼를 먹었으면 그 한 끼만큼 살아. 또 배가 고파지면 또 한 끼를 먹고 그 한 끼만큼 사는 거야. 그렇게 어떻게든 견디면서 삶을 이어가는 거야."
하나미 엄마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그 순간의 그 따뜻함이, 간절함이 생생하게 다가와 마음이 떨리고 따뜻해지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하나미 엄마의 먹는 일에 대한 집착 같은 애정이 순식간에 이해가 되었다. 결국 그것은 생에 대한 애정이고 그것은 딸인 하나미를 향한 애정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 사랑을 먹고 자란 하나미이기에 가난한 현실보다는 소중한 엄마와 함께라는 삶의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고 주변의 사람들에게 그 행복의 따뜻한 기운을 전해주는 것이다. 아... 덕분에 나도 가난한 모녀 가정의 식탁에 함께 앉아 비록 반값이지만 그래서 더 맛있을 수 밖에 없는 음식들을 먹으며 가족이 된 따뜻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삶과 이런 감정들을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함께 떠올리게 하고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소설이라니. 이런 이야기를 쓴 스즈키 루리카 이제 겨우 열 다섯이라니 놀라움과 동시에 고맙다. 앞으로 이런 놀랍고도 따뜻한 스즈키 루리카의 소설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이니 말이다. 아... 또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벌써부터 기대되는 작가님으로 내 마음 속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