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첫 젠더 수업 ㅣ 창비청소년문고 27
김고연주 지음 / 창비 / 2017년 11월
평점 :
누구나 하게 되는 질문 중 하나가
"나는 누구인가?"가 아닐까?
처음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각각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나"를 궁금해하고,
생각해 보는 시기는 아마도 십대, 청소년기가 아닐까 한다.
나 역시도 나란 사람 때문에 혼란이 시작된 시기가
바로 그 때부터였으니.
그런데 그 본격적인 고민을 시작한 지
꽤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대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이
바로 "나는 누구인가?"라는 점이 참 신기하고도 재미있다.
그래서 이 책이 갖는 미덕이랄까?
이제 막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누군가부터,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누군가까지
"나"를 생각하고, 고민하는 모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 길잡이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책.
무엇보다 작가인 김고연주 씨가
임신과 출산, 육아를 하며 3년이란 시간 끝에 낳은
또 하나의 생명 같은 책이란 생각에
아이처럼 보듬고 봐야 할 것 같은 기분으로 내내 읽었다.
나 역시 '엄마'라는 새로운 역할, 새로운 관계 속에서
또 다른 정체성을 생각해 보고, 고민하고 있었고,
'아들'과 '딸'이라는 서로 다른 '성 姓'을 가진 두 아이와
어떻게 '가족'으로 살아갈지 스스로에게 막 질문을 던진 상황이라,
이 책이 반가웠는지 모른다.
앞서 말했듯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나'에서 시작되지만,
그 대답이 쉽지 않은 것은,
'나'는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재정의 되고,
'나'란 사람이 끊임없이 변화를 겪기 때문이란 생각이 든다.
'나의 첫 젠더 수업'은 그런 의미에서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열려 있는 수업이면서,
모두가 받았으면 하는 수업이란 생각을 해 보았다.
역사, 문화, 사회, 정치, 미디어를 통해
왜곡되기도 하고, 편견으로 자리잡은 여러가지 '젠더'에 대한 내용들.
쉬운 이야기로 잘 풀어주는 작가 덕분에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따라갈 수 있는 수업이지만
우리가 해야 할 '나의 정체성 찾기'와 '우리'가 '함께 살아가기'라는
숙제는 결코 쉽지 않다.
'나'로 '우리'와 '함께' 잘 살아가려면
먼저 흔들리지 않는 '나'라는 정체성을 스스로가
잘 만들어 놓아야 '너'라는 정체성의 당위성과 다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제목에는 '젠더 수업'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젠더'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다름을
어떻게 바라보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첫 수업이라 보면 될 것이다.
'다름'을 인정하고 더 나아가 즐길 줄 아는
'내'가 되고 싶어지는 수업.
'나의 첫 젠더 수업'
당신에게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