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코바늘 손뜨개 기초 x 활용 DIY - 동영상 강의로 쉽게 배우는 친절한 DIY 교과서 31
니뜨.김선영 지음 / 터닝포인트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초 집에 있기 심심해서 새로 시작한 코바늘 뜨기..
유튜브만 보고 뜨기 시작했다가 점점 다른 예쁜 도안에도 욕심이 나기 시작했다 그런데 유튜브만 보다보니 도안 보는 법을 하나도 모르겠어서 쉬운 기초 책을 찾다가 발견한 책!
손뜨개 기법 50가지를 쉽게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는 말에 솔깃했다

나는 기본적인 뜨기 방법은 대략 유튭으로 배운 후여서 작품을 뜨다가 막힐 때 백과사전처럼 참고할 계획이다
책에 실린 작품들도 초보의 눈높이에 맞추어 어렵지 않은 도안들로 구성되어 있으니 나처럼 코바늘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실력을 쌓아서 언젠가 귀요미 인형도 뜰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www.aladin.co.kr/shop/common/wbest.aspx?BestType=PublisherBest&BranchType=1&CID=3936


오랜만에 인터넷 서점 눈팅을 하다가

출판사 랭킹이 있길래 들어가보았다.


출판사랭킹-만화-동물만화 에 들어가보니

개성 만점 귀요미 고양이들이 눈에 띈다.


북스토리 출판사의 피너츠(피너츠의 스누피는 강아지?니까)를 제외하고 반이상이 고양이라서 뭔가 신기했다. 최근 십 년동안 인터넷에서 고양이들의 귀여움이 각광받는 것 같다. 그러면 어떠랴 귀여우면 된 것을! 냥이도 댕댕이도 모두 사랑이다.


 '고양이 낸시'는 개인적으로 구입했다가 한 권 더 사서 친구에게 선물했다. 가끔 꺼내보는 데 볼 때마다 포근한 기분이 들어 좋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랩 걸 -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사이언스 걸스
호프 자렌 지음, 김희정 옮김 / 알마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혼의 쌍둥이 같은 우정과 연구에 대한 열정이라는 두 개의 가치가 빛난다. 읽기 전 기대했던 바와는 달랐지만 저자의 삶과 나무들의 생태가 맞물려 서술되는 부분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당신이 글을 쓰면 좋겠습니다 - 나와 당신을 돌보는 글쓰기 수업
홍승은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만이 쓸 수 있는 이야기를 쓰기 위해 연필을 집어든다는 것은 엄청난 용기를 필요로 한다. 하물며 이를 남과 공유하는 것은 말해 무엇하랴. 책 속의 글쓰기 모임 회원분들이 존경스럽다. 나의 이야기와 남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글쓰기에는 이런 힘도 있었다고 새삼 다시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출신
사샤 스타니시치 지음, 권상희 옮김 / 은행나무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펼치면 4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차례에 놀랐다. 책은 두꺼운 편이지만 수 많은 짧은 글들의 묶음이기 때문에 책장을 넘기는 것이 힘들지는 않았다.
각각의 짧은 글들은 주인공의 생각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마치 길을 걸으며 주변의 들꽃, 풀벌레, 돌멩이들에 잠시 시선을 빼앗기는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러나 산만한 느낌이 들지 않는 것은 길의 시작과 끝에 할머니라는 길잡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나라에서 태어났기 때문에(119쪽) 글쓴이의 '출신'에 대한 탐구는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기억에 기댈 수 밖에 없다. '오스코루샤'라는 외떨어진 산속 마을에서 듣는 할머니와 노인들의 이야기는 진실과 환상이 뒤섞여 듣는 이를 갸우뚱하게 한다. 사실과 기억은 다르다. 그렇지만 '청소년 릴레이 경주 대회'(316쪽)에서 기억 속 통나무 막대가 진짜가 아니었다. 그렇지만 글쓴이가 느꼈던 자긍심, 그 시대의 이데올로기는 '나무'로 만들었든 '유리'로 만들었든 간에 변하지 않는 가치이다. 오히려 환상은 그 기억을 더욱 생생하게 만들어 줄 따름이다.

이 책의 제목인 '출신'을 이야기를 읽는 내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누군가 내게 고향이 어떤 의미인지 묻는다면, 내게 처음으로 아말감 충전을 시술한 하이마트 박사 이야기를 해줄 것이다.'(15쪽) '출신'에 대한 물음은 '정체성'에 관한 물음으로 연결된다.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나'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출신'에 대한 물음에 이어지는 책 한 권의 대답 속에서 우리는 가족과 친구, 그들과 함께했던 장소에 관한 기억을 더듬을 수 있다.

+) 동유럽과 먼 한국의 독자로서 이 책을 만나고 책에 대한 소개글을 읽었을 때 '존재하지 않는 나라'에 대한 궁금증이 일었다. 세계사에 대한 지식이 짧아 책을 읽으면서 유고슬라비아에 대하여,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처음 찾아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