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독보적인 시작 스탬프가 들어왔다
바로 안들어오길래 영영 안 주는 줄 알았는데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독서
When Breath becomes Air
숨결이 바람 될 때(2016)

문학도에서 의학도로, 의사에서 환자로
삶과 죽음, 의미에 대한 뜨거운 생의 기록

위 두 줄은 출판사의 홍보 문구이다. 저 두 줄은 이 책에 대한 요약이기도 하지만 책 전체에 담긴 한 신경외과 의사의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과 죽음에 당면한 그의 태도를 온전히 담아내지는 못한다.
저자인 폴 칼라니티는 문학도였을 때부터 인생과 죽음의 의미에 대하여 깊이 탐구하였으나 문학으로의 간접적 체험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껴 다시 의학도의 길을 걷게 된다.
책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건강하던 시절의 의사로서의 모습은 환자의 삶과 죽음에 공감하며 삶과 죽음을 목격하며 떠올랐던 고민이 주를 이룬다. 이미 그 때에도 충분히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의사의 의무를 훌륭히 다하였다. 그렇지만 자신이 환자의 입장이 되자 자신이 진정 의사의 역할을 행하였는지, 환자의 고통이 어떠하였는지를 다시 돌이켜 생각한다. 이른 시기에 찾아온 병은 그에게 슬픔을 주었지만 그는 병으로부터 삶과 죽음의 의미를 찾아낸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죽음이 가까이 찾아왔을 때도 변하지 않았던 그의 태도이다. 그는 건강했을 때에도, 전신이 고통에 휩싸일 때에도, 병이 희망적으로 나아졌다가 다시 절망적으로 악화되었을 때에도 일관된 태도로 진지하게 삶과 죽음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자신의 정체성과 해야 할 일을 헤메이지 않았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두고 떠냐야 하는 상황에서도 가족에 대한 사랑과 자신에 대한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그의 모습이 존경스럽다. 우리는 그가 남긴 마지막 글에서, 그의 아내가 남긴 에필로그에서 우리의 정체성과 삶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창한 진실과 큰 그림은 그 위험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하지만 그 후에는 다시 과감하게 사실에 근거해 세계를 바라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울러 그렇다면 무엇을 할 수 있고, 서커스 천막을 빠져나와 세상으로 돌아가면서 어떻게 더 긍정적이 되고,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희망을 품을 수 있는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설로 전해 내려오던 하드 sf의 결정판!‘ 책 뒷편의 홍보 문구이다. 하드sf라는 말을 여러 번 들었기에 대충 뜻을 알고 있었으나 인터넷에 다시 검색해 보았더니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sf소설‘이라고 한다. 작가가 임의로 만든 설정들이 아닌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한 소설이라는 점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겁도 났다. 이것도 머리가 아프면 어떻하지?

이러한 걱정은 이 책의 첫머리에서 사라졌다. 1챕터인 ‘겨울 폭풍‘을 묘사한 구절이 너무나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장을 읽는 순간 이 책은 영구 소장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책의 주인공은 특별한 외계 행성의 상선 선장인 발리넌이다. 그들의 지식 수준은 과학을 잘 알지 못하는 나와 비슷했기에 지구인 찰스와 외계인 발리넌의 대화에서 전갈처럼 생긴 발리넌에 이입하며 열심히 머리를 굴렸다. 이제는 백지 상태가 된 갖가지 물리학과 화학 법칙들을 억지로 떠올리니 책을 읽는 데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다. 새로운 행성들에 대한 묘사도 재미있고 신선한 점이 컸고, 문장들이 어렵지 않고 술술 읽혔다. 또 끊임없이 적당한 긴장감으로 벌어지는 사건들도 흥미진진하였다. 가끔 sf 영화들을 보면서 느꼈던 불편한 점(최근에 보았던 영화들 중에는 ‘에드 아스트라‘) 대신 과학 지식에 대한 등장인물들의 열망을 오랜만에 느꼈다. 그런 점에서 결말까지 완벽했다.

책 말미의 저자 후기를 보면 저자가 어떤 행성을 모티브로 새 행성을 창조하였는지, 왜 그러한 자연환경이 나오는지를 여러 가지 과학적 용어를 이용하여 묘사하였는데 자신이 만든 세계에 대한 진심 어린 애정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