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네스뵈는 꾸준히 스탠드얼론 스릴러도 발표해왔다. 아버지의 복수를 향해 전속력으로 나아가는 스릴러 《아들》, 셰익스피어의 영원한고전을 다시 쓴 《맥베스》, 1970년대의 어두운 오슬로를 그린 《블러드온 스노우》와 《미드나잇 선》 등이 전세계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노르웨이의 작은 마을 ‘오스‘에서 벌어지는 비극을 소재로 한 <킹덤>은 오슬로를 배경으로 하지 않는 데다 범죄자의 시점이 강조되어 기존 작품들과 궤를 달리한다. 네스뵈는 "내가 반드시 다루는 주제가 있다. 사랑, 살인, 의리, 탐욕, 도덕, 욕망,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다"라고 밝힌 바 있다. 작가가 천착해온 키워드가 1930년대 누아르의 향기가 묻어나는 《킹덤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색다른 독서경험이 될 것이다.
2013년 노르웨이 문학을 세계에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페르귄트상을 받았으며, 201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상을, 2016년 리버튼 공로상을 수상했다. 2019년에는 《칼》로 22년 만에 리버튼상을 다시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