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정영목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6월
평점 :
도서관 신간코너를 둘러보던중 발견한 책이다. 작가인 정영목씨는 번역가로 무척 익숙한 이름인데 그분이 첫 에세이를 내셨다고 하니 어떻게 글을 쓰셨을까 궁금해서 읽어봤다. 어문계열쪽을 전공하기는 했지만 외국어 공부에 대한 큰 관심이 없어서 학창생활을 그냥 설렁설렁 보낸것 같아 아쉽다. 시간을 다시 되돌린다면 번역능력쪽에 촛점을 맞춰 공부를 하고 기회가 되면 계속 번역작업을 해봤더라면 하는 막연한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번역가 정영목씨가 번역한 주요 작품을 살펴봤다. 『사람과 상징』,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불안』, 『눈에 대한 스밀라의 감각』, 『감성과 이성』, 『마르크스』, 『신의 가면 III:서양신화』, 『권력을 경영하는 48법칙』, 『딸 그리고 함께 오르는 산』, 『제스처 라이프』, 『도시의 과학자들』, 『눈먼 자들의 도시』, 『눈뜬 자들의 도시』, 『돌뗏목』, 『흉내』, 『펠리컨 브리프』, 『쥬라기 공원』,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호치민 평전』, 『여행의 기술』, 『행복의 건축』, 『죽음의 중지』, 『로드』, 『서재 결혼시키기』, 『책도둑』, 『메신저』, 『일의 기쁨과 슬픔』, 『공항에서 일주일을』, 『에브리맨』,『포트노이의 불평』,『미국의 목가 1, 2』,『척하는 삶』,『영원한 이방인』,『비 온 뒤』등이 검색되는데 물론 더 많은 번역서를 내셨을것 같다. 일단 훑어보니 읽은 책도 있고 안 읽은 책도 있는데 호치민평전도 정영목씨가, 쥬라기공원, 로드등등 상당히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번역물들이다.
책에서는 작가가 통과한 주요 작가들에 대한 담론을 다룬 내용이다. 에세이에 등장하는 작가들을 살펴보면 얼마전 돌아가신 필립 로스, 어니스트 헤밍웨이, 알랭 드 보통, 커트 보니것, 오스카 와일드, 코맥 매카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존 업다이크, 존 밴빌, 윌리엄 트레버, 이창래 등 소위 위대한 작가의 범주안에 포함될만한 화려한 작가진이다.
전반부는 30여년간 번역을 하며 그가 옮긴 소설들 가운데 인상 깊은 작가들을 선별해 그 작가에 대해 써둔 원고들을 모아서 엮어냈다. 후반부는 작가가 살아오며 겪었던 순간들을 솔직한 필체로 기술했다. 원서를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다면 누구보다 먼저 첫번째로 유명작가들의 소설을 만나 비평가가 아닌 독자의 입장에서 작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것도 쏠쏠한 재미가 있다.
책장을 덮고 나면 작가가 소개한 소설들을 더 많이 읽고 싶어진다. 결국 책은 책을 부르고, 다시 쌓여가기만 한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