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책] 처음 만나는 영화 -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김성곤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7월
평점 :
어떤 물건을 구입할때 그냥 무심하게 골랐는데 사용하다보면 크게 만족을 하는 상품이 있다. 책도 꼼꼼하게 따져보지 않고 서점에서 보자마자 구입했는데 읽다보면 내 눈썰미가 죽지 않았어라며 흐뭇한 책 읽기를 할때도 있다. 이 책이 그런 경우에 해당된다. 교보샘에서 매달 책을 고를때 영화분야에서 한 권씩 읽기로 하고 검색을 하다가 눈에 띄여서 책장에 담군 책인데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일단 이 책은 개정증보판이라고 한다. 출판사의 소개글을 보니, 192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90여 년간의 할리우드 영화를 아우르는 영화 비평서로, 《김성곤 교수의 영화 에세이》에 새로운 내용을 담아 출간했다고 한다. 사실 그동안 영화평론가들의 책을 거의 보지 않았기 때문에 김성곤 교수님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됐다. 보통 쉽게 쓰는 사람과 극악으로 어렵게 쓰는 사람들로 나뉘는데 이 분의 평론은 상당히 균형잡힌 느낌이었다. 책에서는 너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글속에 날카롭게 영화의 이면에 감춰진 부분을 들춰내고 있다.
천명관 작가가 내 인생의 책에서 추천했을만큼 글쓰는분들에게도 인정받는 평론가인듯 싶다. 책에 소개된 영화도 매우 대중적인 영화를 다루고 있다. 소개된 영화들을 목차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미국 문화와 영화, 어떤 관계인가?
미국의 꿈과 악몽 -레인 맨
미국 영화에 나타난 영웅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미국 영화 속의 반영웅들 -탈옥, 리틀 빅 히어로, 록키, 람보
아버지와 아들 -셰인, 돌아오지 않는 강, 보통 사람들, 위트니스, 아빠 만들기
현대 가정의 위기 -나 홀로 집에, 후크, 요람을 흔드는 손, 가디언, 크러시, 헨리의 이야기
소수인종과 여성의 이미지 -흑과 백, 밤의 열기 속에서, 스타 트렉, 뻐꾸기 둥지로 날아간 새, 말콤 X, 델마와 루이스
정치 이념과 영화 -하이 눈, 연방경찰, 외계의 침입자, 어 퓨 굿 맨
미국의 위기와 극복 -다이하드, 폴링다운
2. 영화에 반영된 시대정신
영화에 나타난 제국주의 -왕과 나, 마지막 황제, 콰이 강의 다리, 매쉬, 람보, 인디애나 존스
대재난 영화의 심층의미 -킹콩, 에어포트, 포세이돈 어드벤처
정보기관의 음모와 불신시대 -007 시리즈, 프레데터, 더 패키지, 노 웨이 아웃, 펠리컨 브리프
전쟁과 영화 -야곱의 사다리, 지옥의 묵시록, 디어 헌터, 플래툰, 7월 4일생
자신과의 싸움, 사랑과 영혼 -클리프행어, 사선에서, 영혼의 집,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칼리토
3. 영화를 보는 두 겹의 시각
공포영화의 정치성 -드라큘라, 살아 있는 시체들의 밤, 미저리
SF영화의 사회비판 -터미네이터 2, 에일리언, 주라기 공원
선과 악의 경계 해체 -가디언, 케이프 피어, 용서받지 못한 자, 도망자, 크라잉 게임
포스트모던 영화 텍스트 -JFK, 장미의 이름, 프라하의 봄
예술영화와 상업영화 -트루 로맨스, 배트맨 2, 델리카트슨, 비터 문
영화화된 문학작품 -하워즈 엔드, 앨라배마에서 생긴 일, 올란도
절대적 진리의 부재와 다양성 인정 -라이프 오브 파이, 마이너리티 리포트, 나는 전설이다
양극을 피하는 중간 : 화해와 공존을 위해 -킹덤 오브 헤븐, 벤허
구원자와 해방자의 정체 -헝거 게임, 다크 나이트 라이즈
제국주의와 자본주의의 생태계 파괴 -아바타
좀비들은 왜 무서운가? -월드 워 Z, 워킹데드
미국영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이미지 -크래쉬
영화에 나타난 아메리카와 아메리칸 드림 -위대한 개츠비, 터미널
대부분 본 영화라서 책에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 사실 책에 소개된 영화중 안 본 영화도 그런 영화가 있다는걸 알고 있기 때문에 낯설지 않았다. 히어로물 배트맨부터 B급 장르의 좀비까지 다양한 영화를 풍부한 문학적, 철학적 지식으로 풀어내는 김성곤 평론가의 글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안 본 영화들을 찾아서 꼼꼼히 보고 평론을 다시 읽고 싶다. 종이책도 사볼까 고민중....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