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 ㅣ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6
강상중 지음, 김수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6년 7월
평점 :
작년부터 읽어왔던 나쓰메 소세키 소설들의 중간 턴 지점에서 강상중 교수가 쓴 소세키에 관한 책을 봐줬다. 내가 읽어온 소세키 소설들에 대한 생각과 강상중 교수의 분석은 어떤 차이가 있나 궁금했기 때문이다.
책에서는 총 5작품이 다뤄진다. 데뷔작이라 할 수 있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그리고 전기 3부작인 산시로, 그후, 문과 마지막으로 마음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어느글에서 봤는데 강상중 교수는 그중 산시로를 애정하고 있다고 하는데 작중 산시로의 고향이 구마모토라 강교수의 고향과 일치할뿐더러 도쿄로 상경하는 지점부터 깊은 공감을 느낀다고 책에서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나쓰메 소세키를 인생의 스승정도로 여기며 무한한 존경심을 바치고 있다. 100년이 지난 지금의 시각으로 봐도 그 당시 파격적인 소설들이었음은 분명하다. 정치학을 전공한 저자의 이력과 달리 책은 무척 쉽고 가독성있게 읽힌다. 어찌보면 거의 독후감 수준일정도로 평이한데 그렇다고 깊이가 낮은건 아니다. 소세키 소설에서 느꼈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자체만으로 만족한다.
여기서 잠깐 재일교포 강상중 교수에 대해 잠깐 알아보기로 한다. 사실 이 작품도 일본어로 씌였기 때문에 그의 이력이 궁금했다.
1950년 일본 규슈 구마모토 현에서 폐품수집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일제 강점기 일본으로 건너가 정착한 재일교포 1세이다. 일본 이름을 쓰며 일본 학교를 다녔던 그는 차별을 겪으면서 재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와세다 대학 정치학과에 재학 중이던 1972년 처음으로 한국을 찾았고, “나는 해방되었다”고 할 만큼 자신의 존재를 새로이 인식하게 된다. 이후 일본 이름 ‘나가노 데츠오(永野鐵男)’를 버리고 본명을 쓰기 시작했고, 한국 사회의 문제와 재일 한국인이 겪는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행동한다.
재일 한국인의 사회 진출이 쉽지 않아 대학원에서 유예기간을 갖던 중 은사의 권고로 독일 뉘른베르크 대학으로 유학을 떠난다. 독일에서 그는 베버와 푸코, 사이드를 통해 ‘재일(在日)’이라는 자기규정과 문제의식이 근대화와 서구중심주의,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보다 보편적인 컨텍스트로 이해되고 확장될 수 있음을 깨닫는다. 1998년 일본 국적으로 귀화하지 않은 한국 국적자로는 최초로 도쿄 대학 정교수가 되었고, 일본 근대화 과정과 전후 일본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으로 일본 지식인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냉정한 분석과 세련되고 지적인 분위기, 호소력 강한 목소리로 많은 팬을 가지고 있다. 그는 정치뿐만 아니라 언론, 사상, 학문,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분석을 통해 20세기 일본의 대아시아관의 변화를 규명, 일본 지식인사회의 주목을 받았으며, 특히 식민지지배의 역사 속에서 벌어진 재일 한국인에 대한 차별의 근원 규명은 그의 중심 테마다. 도쿄 대학 정보학연구소 교수를 거쳐 현재 세이가쿠인대학 교수로 재임중이다.
그의 대표 저서 『고민하는 힘』은 고도성장의 시대가 끝나고 경제 위기가 심화되고 갈수록 살기가 팍팍해지는 사회 속에서 불안과 고민에 휩싸여 있는 사람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힘든 고민의 시간이 곧 살아갈 힘이 되어준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밀리언셀러가 되었다. 지은 책으로 『재일 강상중』 『내셔널리즘』 『세계화의 원근법』 『20세기를 어떻게 넘을 것인가』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두 개의 전후와 일본』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고민하는 힘』 『청춘을 읽는다』 『반걸음만 앞서 가라』 『어머니』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등이 있다.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를 곧바로 읽어봐야겠다. 아무튼 그는 중학교 시절에 나쓰메 소세키를 처음 접하고 현재까지도 꾸준히 그의 소설들을 읽고 있으며 다시 읽을때마다 새로운 지점들을 발견한다고 말한다. 그만큼 많은 울림이 있는 소설들임은 분명한듯 싶다.
강교수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들을 한마디로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섬세하면서도 동시에 대담하며 유머러스하면서도 위태롭습니다.”저자는 세키의 표작들 행간 곳곳에 담긴 속뜻을 살펴보며 탁월한 해설을 통해 살펴보는 색다른 즐거움을 안겨준다. 박학다식한 소세키의 면면을 좀더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싶으면 읽어볼만한 책이다. 쉽고 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