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는 왜 필사적으로 교양을 배우는가
가야 게이치 지음, 최은지 옮김 / 시그마북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읽다보니 요즘 계속 돈에 관한 책을 자주 보고 있는데 끌어댕김이던가 말도 안되는 법칙으로 간절히 원하면 부자가 되는건가 싶다. 사실 꼭 부자가 되고 싶기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돈의 흐름을 통제하고 벗어날 수 있을런지 그런 툴이 궁금하다. 말을 돌려서 말했지만 결국 같은 이야기인가? 먹고 사는데 적당할만큼 재화가 공급되는 그런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했고 어느 정도 구축하기는 했지만, 미래에 대한 불투명함으로 인해 적당한 정도를 모르겠다는게 문제이기는 하다.
그래서 끝없이 돈에 천착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은건가 싶기도 하다. 일단 다시 목표를 상향했으니 부지런히 소양을 쌓아야겠고 직접적인 돈에 관한 책보다 이런류의 책은 어떤 방식으로 부자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는 궁금해서 읽어보게 됐다.
제목도 좀 자극적이고 살짝 자기계발서가 아닌가 싶었는데 읽어보니 기존의 자기계발서와는 조금 다른 스타일의 책이다. 정말 교양에 관한 내용을 생각보다 진지하게 다뤄서 무척 흥미롭게 읽었다. 저자는 형이상학적인 학문에 촛점을 맞춰 부에 대해 연관관계를 지속적으로 밝혀나간다. 부자가 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않고 학문내지 사조에서 어떤식으로 부를 도출해낼 수 있을까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우리가 활동하고 있는 대부분의 분야가 간접적이든 직접적이든 돈 문제와 관련되어 있듯 형이상학적 지식도 마찬가지다. 주식시장에서 도대체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좋은가, 향후 인기를 얻어 시장을 선도할 상품은 무엇인가라는 형이하학적 지식보다 사업의 본질과 의미란 무엇인가하는 형이상학적 지식을 이용해 감각을 키워주는데 촛점을 맞추고 있다.
총 여섯가지 교양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자산가가 되기 위한 사회학, 흔들림 없이 돈을 벌기 위한 경제학, 돈에 관한 센스를 익히기 위한 수학, 돈 버는 뇌를 위한 정보공학, 인간과 수익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철학, 부의 동향과 미래를 내다보기 위한 역사학을 통해 부의 본질에 대해 형이상학적으로 말하고 있다.
책도 비교적 얇고 가독성도 높은편이라 잘 읽히는 장점도 있고 꽤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다. 관심있는 사람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