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고구려 1 : 도망자 을불 고구려 1
김진명 지음 / 새움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그닥이라고 생각하면서 이상하게 김진명 작가의 소설을 많이 읽게된다. 누가 선물해줘서 보고,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보기도 하고..읽을때마다 느끼는건 한결 같이 용두사미의 결말이다. 뭔가 거창하게 시작해서 마무리는 늘 아쉬운 그런 스탈이다. 어찌니 글도 잘 읽히는지 권당 몇 시간이 걸리지 않아 금방 완독하는 마성의 작가다 ㅋ


고구려는 김진명이 집착하는 소재인데, 이미 광개토대왕비를 다뤘던 소설도 꽤 인기를 끌었다. 작품성을 떠나 소재발굴과 소재에 대한 연구는 인정할만한데, 고구려는 미천왕을 중심으로 낙랑성 함락이 주요 소재이다. 낙랑성 함락이지만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정사에 가깝게 쓰려는 노력을 했는데 참고 문헌이 많지 않아 그의 상상력이 많이 들어가지 않았나 생각된다.


봉상왕으로부터 탈출해 소금장수 을불로 지내다, 다시 복귀해 미천왕에 오른 후 주변국들을 정벌하고 비교적 치세를 한 훌륭한 임금인 미천왕이 메인 캐릭터다. 살짝 무협지스럽기도 하고 역시나 잘 읽힌다. 문학적인 완성도는 늘 그런 수준이다.


알라딘에서 이북 120프로 페이백 행사를 하길래 덥석 물어서 가볍게 읽어줬다. 김진명표 소설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그런 역사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고구려 2 : 다가오는 전쟁 고구려 2
김진명 지음 / 새움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그닥이라고 생각하면서 이상하게 김진명 작가의 소설을 많이 읽게된다. 누가 선물해줘서 보고,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보기도 하고..읽을때마다 느끼는건 한결 같이 용두사미의 결말이다. 뭔가 거창하게 시작해서 마무리는 늘 아쉬운 그런 스탈이다. 어찌니 글도 잘 읽히는지 권당 몇 시간이 걸리지 않아 금방 완독하는 마성의 작가다 ㅋ


고구려는 김진명이 집착하는 소재인데, 이미 광개토대왕비를 다뤘던 소설도 꽤 인기를 끌었다. 작품성을 떠나 소재발굴과 소재에 대한 연구는 인정할만한데, 고구려는 미천왕을 중심으로 낙랑성 함락이 주요 소재이다. 낙랑성 함락이지만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정사에 가깝게 쓰려는 노력을 했는데 참고 문헌이 많지 않아 그의 상상력이 많이 들어가지 않았나 생각된다.


봉상왕으로부터 탈출해 소금장수 을불로 지내다, 다시 복귀해 미천왕에 오른 후 주변국들을 정벌하고 비교적 치세를 한 훌륭한 임금인 미천왕이 메인 캐릭터다. 살짝 무협지스럽기도 하고 역시나 잘 읽힌다. 문학적인 완성도는 늘 그런 수준이다.


알라딘에서 이북 120프로 페이백 행사를 하길래 덥석 물어서 가볍게 읽어줬다. 김진명표 소설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그런 역사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고구려 3 : 낙랑 축출 고구려 3
김진명 지음 / 새움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그닥이라고 생각하면서 이상하게 김진명 작가의 소설을 많이 읽게된다. 누가 선물해줘서 보고, 소재가 궁금해서 찾아보기도 하고..읽을때마다 느끼는건 한결 같이 용두사미의 결말이다. 뭔가 거창하게 시작해서 마무리는 늘 아쉬운 그런 스탈이다. 어찌니 글도 잘 읽히는지 권당 몇 시간이 걸리지 않아 금방 완독하는 마성의 작가다 ㅋ


고구려는 김진명이 집착하는 소재인데, 이미 광개토대왕비를 다뤘던 소설도 꽤 인기를 끌었다. 작품성을 떠나 소재발굴과 소재에 대한 연구는 인정할만한데, 고구려는 미천왕을 중심으로 낙랑성 함락이 주요 소재이다. 낙랑성 함락이지만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정사에 가깝게 쓰려는 노력을 했는데 참고 문헌이 많지 않아 그의 상상력이 많이 들어가지 않았나 생각된다.


봉상왕으로부터 탈출해 소금장수 을불로 지내다, 다시 복귀해 미천왕에 오른 후 주변국들을 정벌하고 비교적 치세를 한 훌륭한 임금인 미천왕이 메인 캐릭터다. 살짝 무협지스럽기도 하고 역시나 잘 읽힌다. 문학적인 완성도는 늘 그런 수준이다.


알라딘에서 이북 120프로 페이백 행사를 하길래 덥석 물어서 가볍게 읽어줬다. 김진명표 소설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그런 역사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를 엮다 오늘의 일본문학 11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은행나무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역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읽게 됐다. 분노를 관람하고 미야자키 아오이 검색, 그녀의 소년 메리켄 사쿠를 보고 나서 다음편 영화로 행복어 사전을 선택했는데 영화의 원작이 있었네? 작가는 처음 접해보는 미우라 시온, 얼마전 슬픈 열대어의 소노 시온과 관계가 있나 생각했는데 둘의 합성이 미우라 시온인가?..결국 그녀의 작품을 볼 수 밖에 없는 말도 안되는 이어붙이기로 읽었다 ㅋ


일본 특유의 잔잔하고 감성 돋는 그런 소설이다. 사전에 미친 사람들이 모여 오랫동안 사전을 제작하느라 개고생하고 결국 이뤄낸다. 이게 전부다. 이걸 나름 장편소설로 엮어내고, 아울러 영화까지 만들어내다니 그저 놀랍다는 ㅋ


인생과 사랑, 그리고 집념, 사회생활, 인간관계등등 살아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희로애락이 녹아들어가 있는 소설이다. 일본의 서점 대상 1위를 수상했고, 소설 부문 판매 1위, 60만 부 판매 돌파했다고 한다. 아무튼 2012년 일본 출판계 최고의 소설중 하나인데 작가 미우라 시온은 이 작품전에도 나름 인지도가 있는 그런 작가였다.


사전 <대도해> 편찬을 준비하고 있는 대형출판사 겐부쇼보의 사전편집부에 놀라운 언어적 센스를 가졌지만 소심하고 엉뚱한 공상에 빠져있는 마지메가 전근오며 벌어지는 일들이 이야기의 시작인데, 배를엮다라는 제호는 대도해를 한글로 표현한 말이라고 한다. 사전이 나오기까지 대략 20여년에 걸친 이야기들이 두 단락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 있고, 금방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일본을 늘 개무시하고 사는 한국사람의 입장에서 일본은 알면 알수록 무섭고 놀라운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괜히 강점당한게 아니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해진 미래 - 인구학이 말하는 10년 후 한국 그리고 생존전략
조영태 지음 / 북스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계속되고 회자가 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인구절벽의 화두가 우리에게 의미하는바가 뭘까?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인구론을 전공한 서울대 인구학 교수인 조영태 박사가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 세상으로 내논 역작이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이론중의 하나가 진화론이라고 생각한다. 그 진화론의 시작에 영향을 준 작품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멜서스의 인구론이었는데 현재 싯점에서 멜서스의 인구론은 맞지 않는걸로 보이지만 인구의 규모에 따른 영향력은 그 당시보다 지금 더 크게 다가온다. 인구의 많고 적음은 생각보다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삶의 기준이 바뀔 수도 있는 중요한 요소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인구조절 정책에 촛점을 맞춰, 심지어 정관수술을 하기만 해도 훈련을 면제해줬는데 이제 아주 먼 옛날의 이야기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이대로 가면 한국이라는 나라가 지구상에 없어진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니...


일단 책에서 보여지는 미래는 매우 어둡다. 조영태 교수는 어두운 미래에 대해 굳이 부정을 하지 않는다. 다만, 그런 어두운 미래에 어떤 준비 내지 자기만의 대비책이 없다면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를 한다. 아울러 정해진 미래에 대해 알고 대처한다면 생각보다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고 역설하기도 한다.


반 토막 난 출생인구는 당장 부동산과 가족관계부터 변화시키고 있다. 대형 아파트 수요는 벌써부터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면 인구학론 관점에서 소형 아파트에 수요가 몰릴 테니, 미리 사놓으면 돈이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정말로 그럴 것인가?


부동산뿐만 아니라 교육계의 미래도 매우 암울하게 바라본다. 지금처럼 아둥바둥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하는데, 일단 많은 대학이 없어지며 특히 여대의 미래는 더 어둡게 바라본다. 차라리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걸 마음껏 하도록 놔두는게 본인이나 부모 양 사이드 모두에게 좋다고 여기니 이걸 어떻게 받아들여나 싶기도 하지만 충분히 동의할만한 이론이다.


책에서 계속 주장하는 바대로, 인구학의 관점에서 볼 때 모든 미래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설명 가능하다. 그것을 아는가 모르는가가 개인과 사회의 운명에 큰 차이를 가져올 것이며 따라서 우리는 알고 대비해야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