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 쿠데타 - 우리가 뽑은 대표는 왜 늘 우리를 배신하는가?
엘리사 레위스 & 로맹 슬리틴 지음, 임상훈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4월
평점 :
요즘 하루 하루 정치를 보는 맛이 난다. 정치판을 바라보며 기대감을 가졌던게 언제였던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다. 아직 초기이기는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기대하고 생각했던것 이상으로 잘하고 있다. 그 측근들의 태도도 너무나 훌륭하다. 대표적인 실세의 한 사람으로 분류됐던 양정철 전 비서관의 입장 전문을 보고 감동받았다. 이제야 제대로 된 권력을 만난건가?
느낌은 나쁘지 않지만 그래도 시민의 한 사람으로 지켜보며 잘한건 격려하고 나쁘고 못한건 질책해야만 더욱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대의 민주주의의 가장 문제점이 민주주의라는 탈을 쓰고 과두정치로 흘러가 그들만의 리그로 가는 경향이 많은데 오늘날 많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런 경향을 보여준다.
정치 혐오 내지 무관심으로 일관하며 본인은 열심히 산다고 살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나아지지 않는 현실, 그것이 바로 대의 민주주의의 가장 큰 폐해이자 단점이다. 특권층만 권력을 향유하고 대중들은 개돼지처럼 끌려가고 힘들게 생을 마치는게 우리에게 주어진 오늘날의 삶이다. 이런 삶을 살지 않으려면 보다 더욱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자기의 의견을 개진할때만 이 사회가 나아질것이다.
점차적으로 그런 경향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촛불집회도 사실상 그런 경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촛불이 아니었다면 정권교체가 가능했을까?
이 책은 대의민주주의의 문제점을 밝히고 시민의 참여가 어떻게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한 유럽 각국의 참여정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박근혜를 뽑아놓고 내 일만 한다면 어떤일이 벌어지는지 우리는 작년말부터 올해초까지 일련의 사태를 겪으면서 잘 알게 됐다. 뽑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뽑고 나서 어떻게 하는지 지켜보는게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 나은 사회와 극우 포풀리즘이 격하게 대립하는 프랑스의 현실 정치를 바라보며 작가들은 프랑스에서부터 아르헨티나, 튀니지, 아이슬란드, 브라질, 스페인 등을 오가며 2년 동안 일반 시민, 시민 활동가, 연구원, 해커, 국회의원, 공무원 등을 포함해 80여 명을 만나 인터뷰했다.
투표소, 투표용지, 투표함, 정당과 선거운동, 선거 명부, 선거사무소, 이러한 모든 것이 우리가 민주주의 안에서 살고 있다는 확실한 보증 수표인 것처럼 보이지만 과연 그럴까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책은 서두를 시작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민주주의 시대는 종말했으며, 그 증거로 분노하는 사람들, 오큐파이 운동, 봉기의 밤등을 제시한다. 보다 더 적극적인 참여만이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다는 각국의 참여정치 현실들을 소개하며 시민들의 쿠데타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