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불꽃 HIBANA
마타요시 나오키 지음, 양윤옥 옮김 / ㈜소미미디어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소한 이름의 일본작가가 역사 깊은 아쿠타가와상 수상을 했고 2016년 일본에서 공전의 히트작이 됐을뿐 아니라 기존 수상작중 판매 1위인 무라카미 류의 [한 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131만부를 훨씬 뛰어넘는 80년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라는 선전문구에 솔깃해서 읽어봤다.


아쿠타가와상은 나오키상과 더불어 일본의 대표적인 문학상인데 연간 2회 시상을 한다. 문학 작품중 순수문학에 가까운 작품들을 선정하는데 별로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노벨문학상도 이미 몇 차례 수상한 일본문학이 세계적으로 한국문학 보다 훨씬 인지도가 높고, 솔직히 재미나 완성도 측면에서도 더 윗길에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나라 소설도 좋은 책들이 많이 나와줬으면 한다.


이 작품은 소설가가 아닌 개그맨이 쓴 작품이다. 그것도 처음 쓴 장편소설로 굴지의 상을 수상했을뿐 아니라 제법 지명도 있는 코미디언으로 37세의 비교적 늦은 나이로 대박을 터트렸으니 놀랄만한 일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컬투쯤 되는 2인조 스탠딩 개그를 전문으로 한다고 하던데 이런 진중한 소설을 써냈다니 역시 일본은 소설에 대한 저변이 무척 넓다고 할 수 있겠다.


자전소설 비슷하게 무명의 개그맨 도쿠나가가 불꽃 축제에서 개그를 하지만 아무에게도 주목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선배 개그맨 가미야를 만나고 이후 그와의 만남을 통해서 자아가 조금씩 커져나가는 그런 스토리다. 무명 개그맨의 처절한 노력과 세상에서 도외시 되서 뒤쳐지는 슬픈 군상들의 모습이 처연하게 그려진다.


개그맨을 소재로 해서 밝고 명랑한 유머스러운 소설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물론 소재가 소재이니만큼 중간 중간 웃음을 자아내는 장면이 있지만 상당히 진지한 소설이다. 작가는 무명의 세월을 버텨내면서 수시로 소설을 습작해서(핸드폰으로 습작하느라 엄지손가락에 건초염이 생겼다고 함) 이런 작품을 써냈으니 그 자신이 새로운 희망을 보여준 셈이다.


우리나라 정서와 살짝 달라서 깊은 공감은 가지 않더라도 한번쯤 읽어볼만한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뇌물의 역사
임용한.김인호.노혜경 지음 / 이야기가있는집 / 2016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이 책을 읽은 이유는 물론 최순실과 대통령, 삼성으로 이어지는 뇌물게이트에 대한 호기심이 결정적이다.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인류의 곁을 결코 벗어난적이 없던 뇌물은 어떻게 다뤄졌을까?


책은 400여 페이지로 비교적 두툼하지만 쉽게 씌여져서 금방 읽히는 편이다. 총 5챕터로 나뉘어 은나라 탕왕시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그리고 조선을 중심으로 국내에 뇌물과 관련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생각보다 많은 나라들이 뇌물로 인해 파탄의 지경에 이르렸으며, 비교적 부패한 나라로 여겼던 조선도 뇌물을 처단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지만 그 복잡한 권력들의 견제로 인하여 매번 실패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누구나 뇌물은 중대한 범죄이며 엄하게 처단되어야만 하는 독버섯이라는걸 알고 있지만 그 처단은 실로 쉽지 않았다.


이재용 부회장이 정유라에게 그 많은 돈을 쓴 이유가 단지 강요에 의해서 그랬을까? 아무런 이득도 없이 말이다. 멍청한 늙은 노인네와 박근혜에 미친 넘들만 제외하고 누구나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이다. 서로 돈만 주고 받은게 아니라 대다수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에 막대한 손실을 끼친 사실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법리적인 논쟁에 말려 처벌하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다.


어처구니 없다. 역시 유전무죄는 동서고금 한국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도 등장하는 비극적인 현실이 되어버렸다. 다만, 선진국들은 재벌이나 부패스캔들에 대해 엄중한 처벌을 하기 때문에 최순실 게이트 같은 어처구니 없는 일들은 비교적 덜 발생하는데 우리나라는 드러난 사실만 이럴 지경인데 묻혀있는 진실들은 가늠할 수 없을 지경이다.


뇌물에 대해 단선적으로 역사적인 팩트에 치중한 점이 좀 아쉽다. 역사적으로 있었던 일들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지만 권력과 뇌물의 구조적인 결합에 대해 좀더 깊게 다뤘으면 싶었다. 아울러 어떻게 처벌해야 되는지 방향성 부분도 약간 모호한 점이 있었다. 하지만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뇌물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박종훈의 대담한 경제 - 대한민국 네티즌이 열광한 KBS 화제의 칼럼!
박종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박종훈 기자와는 인연 아닌 인연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13~4년전 전직장에 KBS 9시 뉴스에서 취재를 나왔다. 당시 취재나왔던 기자가 박종훈 기자였는데 원래 담당 팀장님이 인터뷰를 하기로 되어있었다. 실무자였던 나도 동석을 했는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내가 인터뷰를 하게됐고, 그 인터뷰가 전국으로 방송이 되는 바람에 여기저기서 연락이 왔던 기억이 있다.


나 이렇게 보여도 9시 뉴스에 나왔던 사람이야!!! ㅎㅎ


아무튼 인터뷰할때 나름 현안에 대한 이해가 빠르다는 느낌이 살짝 들었다. 서점에서 지상최대의 경제 사기극 세대전쟁이라는 책을 보고 제목이 특이해서 보다 저자가 그 기자분이라는걸 알고 바로 구입해서 읽었는데 생각보다 책이 좋았다.


이어서 알라딘 이북으로 구입해놨던 대담한 경제라는 책을 읽게 됐는데 2015년 10월에 출간됐으니 시간이 1년도 넘게 흘렀지만 그래도 요즘 싯점에서 참고할만한 내용이 많았다는 생각이다.


책의 전반적인 기조는 정부의 근시안적인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다. 저성장의 쇼크에 전혀 대비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과 엠비정권때부터 시작된 소위 말하는 비지니스 프렌들리 친기업 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정면으로 깐다. 재벌만 배불려서 절대 이런 상황을 타개할 수 없으며, 임금인상등 분배의 정책과 소비진작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임을 내세운다.


아울러 부동산, 세금, 빚, 빈부격차, 복지, 인구, 청년까지 복지확대와 청년세대에 대한 지원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자고 역설적으로 말한다. 쉽게 읽히고 내용도 알찬편이라서 누구나 고개를 끄덕거릴만한 경제입문서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찰리의 철학 공장 - 위기와 희망으로 그려보는 현대 철학의 자화상,철학 이야기 지식전람회 28
박승억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잠깐 외국사에 근무할때 영어 이름이 찰리였다. 누가 지어줬는지 왜 그렇게 지었는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마도 찰리 채플린을 생각하고 지은 이름이 아니었을까 어렴풋이 기억난다.


20대 젊은 나이에 우연히 찰리 채플린의 평전을 읽고 그의 영화도 이것 저것 찾아보면서 이렇게 뛰어난 재능의 영화인이 있을까 싶었다. 나이가 들어서 가끔 보게되는 찰리의 영화를 보면 예전에 보지 못했던 우수어린 촉촉한 정감을 느낄 수 있다. 얼마전 봤던 모던 타임즈에서 일종의 슬픈 떠돌이의 모습을 들여다봤는데 그래도 떠돌이는 우리에게 내일의 희망이 있다고 말한다.책 표지에 나오는 장면이 바로 모던 타임즈의 마지막 장면이다.


이 책은 찰리 채플린의 영화를 현대 철학의 흐름과 맞물려서 새로운 철학 사조의 흐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신화와 종교에서 이성적인 형이상학으로, 다시 객관적인 과학으로, 인간 이성은 나날이 발전을 거듭해 갔는데 그렇게 세월이 흐를수록 인간에게는 소중한 지혜를 잃어버린 것과 같은 공허감이 남았다.


현대 철학은 이런 과학의 혁혁한 발전 앞에서 무력해진 패장처럼 모든 학문의 이상적인 모법이라는 자리를 내놓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묻는 자기 반성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모더니즘을 건너 뛰어 포스트 모더니즘에서 철학이 가져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다뤄진 영화들은 모던 타임즈, 위대한 독재자, 살인광 시대, 황금광 시대, 시티 라이트 다섯편이다. 그중 살인광 시대는 아직 안봤고 다섯 토픽중에서도 살인광 시대의 에피소드에 흥미가 갔다. 어려운 철학을 영화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하려는 것이 책의 목적 같은데, 역시나 철학은 좀 어렵게 다가온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강남의 탄생
한종수.강희용 지음 / 미지북스 / 2016년 5월
평점 :
판매중지


직장생활을 지금의 신논현역 근처에서 시작했다. 중간에 여의도와 서울역 근처를 거쳐 다시 강남역으로 왔다. 강남에서 살아본적은 한번도 없지만 직장생활을 거의 15년 가까이 했으니 친숙한 지역이기는 하다.


화초를 키우는 꽃동네, 배나무 과수원골, 도라지 특산지, 차례로 서초동, 압구정, 도곡동이다. 오늘날 강남을 대표하는 이곳에서 지난 흔적을 찾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한강 남쪽의 강남은 말 그대로 허허벌판과 농사를 짓는 땅에서 오늘날의 화려한 강남으로 변신하게 됐다.


이 책은 강남의 역사를 처음부터 현재까지 낱낱히 파헤쳐서 보여주고 있다. 강남에 대한 순기능, 역기능등을 포함해 객관적인 시선으로 강남이 어떻게 개발되었고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영동이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말이라는걸 이 책에서 읽고 알게 됐는데, 각 지명마다 그 이름이 지어질때는 무언가 연유가 있음을 알게됐다. 지금에야 영등포는 강남이지만 전혀 강남과 다른 지역으로 보여지고, 심지어 동작, 사당 근처도 강남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이제 강남은 지명이 아니라 그들만의 리그로 뭔가 다른 지역과 많이 다른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듯 하다.


이웃 일본에서 버블이 끝나고 부동산이 폭락할때도 도쿄의 일정한 지역들은 오히려 땅값이 더 올라갔다고 하던데 아마도 강남이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같은 서울에서 하늘을 바라보지만 다른 하늘이 있는듯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