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벌이의 지겨움 - 김훈 世設, 두 번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김훈 작가는 얼마전에도 소설을 출간한걸로 알고 있는데, 평소 생각한것 보다 나이가 드셔서 깜짝 놀랐다. 48년생이시니 벌써 우리나라 나이로 70이 되신건데 전혀 그런 느낌이 들지 않았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평소 그의 글에서 접하는 생각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랜 기간의 기자생활을 거쳐 현대작가중 거장의 반열까지 오르신 분인데 아직까지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시고 있다니 놀랍다. 아울러 슷로 자전거 레이서라고 할 정도로 활력있는 삶을 사시니 약간 부럽기까지 하다.
이 책은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한 칼럼과 에세이 50여 편을 모았다. 월드컵 이야기도 나오고, 신문사를 그만뒀다가 다시 경찰 출입기자로 변신하면서 일어나는 단상들도 볼 수 있다.
총 4부로 구성된 구성됐고, 밥벌이에 대해서 이렇게 말을 하며 시작한다. ˝나는 근로를 신성하다고 우겨대면서 자꾸만 사람들을 열심히 일하라고 몰아대는 이 근로감독관들의 세계를 증오한다˝ 절대적으로 동의한다. 어차피 감독관들도 머슴중 상머슴에 해당되는 정도니 지들이 아무리 몰아대봤자 주인은 될 수 없는 법이다.
의외로 본인의 속마음을 많이 토로할 수 있는 글들을 볼 수 있으며. 뒷부분에는 계간지 [문학인]의 2002년 가을호에 수록된 남재일과의 인터뷰를 담아 저자의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사실 유시민의 책에서 김훈의 생각에 대한 반박을 볼 수 있는데, 원문을 잠깐 살펴보기로 하자.
˝나는 문학이 인간을 구원하고, 문학이 인간의 영혼을 인도한다고 하는, 이런 개소리를 하는 놈은 다 죽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이 무슨 지순하고 지고한 가치가 있어 가지고 인간의 의식주 생활보다 높은 곳에 있어서 현실을 관리하고 지도한다는 소리를 믿을 수가 없어요. 나는 문학이란 걸 하찮은 거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이 세상에 문제가 참 많잖아요. 우선 나라를 지켜야죠, 국방! 또 밥을 먹어야 하고, 도시와 교통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애들 가르쳐야 하고, 집 없는 놈한테 집을 지어줘야 하고…. 또 이런 저런 공동체의 문제가 있잖아요. 이런 여러 문제 중에서 맨 하위에 있는 문제가 문학이라고 난 생각하는 겁니다. 문학뿐 아니라 인간의 모든 언어행위가 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펜을 쥔 사람은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생각해 가지고 꼭대기에 있는 줄 착각하고 있는데, 이게 다 미친 사...(하략)˝
하여간 본인의 의견에 대해 확고하신 분이다. 페미니스트에 대해 부정적이기도 하고 가부장적인 이미지를 숨기지 않는 면도 마음에 든다. 요즘 페미니즘에 대한 의견이 설왕설래하고 있는데 각자 자기들만의 생각이 있으니 서로 다름을 인정했으면 좋겠다.
끝으로 김훈 작가의 글 몇 토막으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우리들의 목표는 끝끝내 밥벌이가 아니다.˝
˝소유는 아름다움을 개인화함으로써 그 아름다움을 배가하는 모양이다˝
˝죽지 않고 산다는 것은 흥정과 타협의 산물이 아니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