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17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7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6년 10월
평점 :
해마다 연말이면 자연스럽게 읽게 되는 시리즈다. 올해도 어김없이 한해를 마무리하며 훑어보게 됐다. 책의 구조는 먼저 일단 2016년의 10대 트렌드상품을 분석한다. 10개를 보자면, 간편식, 노케미족, 메신저 캐릭터, 부산행, 아재, O2O앱, 저가음료, 태양의 후예, OO페이, 힙합등을 선정했는데 고개를 끄덕거리는 품목도 아니고 갸우뚱하게 하는 품목도 있다.
태양의 후예는 보지도 않았는데 그렇게 대단한 드라마였나 싶다. 부산행도 왜 선정됐을까 싶었는데 영화에서 보여주는 각자도생이라는 화두를 날카롭게 짚어내는걸 보고 끄덕이게 됐다.
다음으로 작년에 발간했던 소비트랜드 키워드에 대해서 리뷰를 해준다. 작년에 예상했던 트랜드는 다음과 같다.
Make a ‘Plan Z’ ‘플랜 Z’, 나만의 구명보트 전략
Over-anxiety Syndrome 과잉근심사회, 램프증후군
Network of Multi-channel Interactive Media 1인 미디어 전성시대
Knockdown of Brands, Rise of Value for Money 브랜드의 몰락, 가성비의 약진
Ethics on the Stage 연극적 개념소비
Year of Sustainable Cultural Ecology 미래형 자급자족
Basic Instincts 원초적 본능
All’s Well That Trends Well 대충 빠르게, 있어 보이게
Rise of ‘Architec-kids’ ‘아키텍키즈’, 체계적 육아법의 등장
Society of the Like-minded 취향 공동체
제목만으로 확실하게 알수는 없겠지만 대충 감은 잡힌다. 전반적으로 불황상태의 가성비 위주의 소비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가족이 해체되고 각 개인 위주로 빠르게 사회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17년도 10대 소비트렌드에 대해 전망을 한다. 일단 2017년의 전망은 상당히 어둡게 보지만, 그런 불황을 이겨내라는 의미로 분홍색을 대표색으로 정하고 희망을 가져보자는 의견을 제시한다. 예상되는 2017년의 10대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C’mon, YOLO! 지금 이 순간, ‘욜로 라이프’
Heading to ‘B+ Premium’ 새로운 ‘B+ 프리미엄’
I Am the ‘Pick-me’ Generation 나는 ‘픽미세대’
‘Calm-Tech’, Felt but not Seen 보이지 않는 배려 기술, ‘캄테크’
Key to Success: Sales 영업의 시대가 온다
Era of ‘Aloners’ 내멋대로 ‘1코노미’
No Give Up, No Live Up 버려야 산다, 바이바이 센세이션
Rebuilding Consumertopia 소비자가 만드는 수요중심시장
User Experience Matters 경험 is 뭔들
No One Backs You Up 각자도생의 시대
2016년 소비트렌드의 심화버즌으로 생각된다. 욜로라이프는 You Only Live Once의 약자로 인생은 한 번 뿐인데 어렵더라도 자기가 하고 싶은걸 하자는 말이고, 1코노미, 각자도생등도 개인적인 삶에 대한 부분을 들여다보고 있다.
종사하고 있는 직종이 영업직이라서 영업의 시대가 온다 파트를 좀더 꼼꼼하게 읽었고 전반적으로 고개를 끄덕거리게 되는 주제들이 제시됐다. 한해를 마무리하는 12월에 보기에 적당한 시리즈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