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한 과학책 - 지구 생활자들의 엉뚱한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 ㅣ 위험한 과학책
랜들 먼로 지음, 이지연 옮김, 이명현 감수 / 시공사 / 2015년 4월
평점 :
작년 이맘때 교보문고에 들렸다가 눈의 띄여서 구입한 책이다.
고등학교때 문과와 이과를 결정짓는 과목은 대부분 과학과 수학이 아니었나 싶다. 내 경우는 과학과 수학 둘다 별로라했기 때문에 너무나 당연하게 문과를 갔다. 하지만 수학은 싫어해도 숫자를 다루는 일을 하게 되었고, 과학은 싫어하지만 교양과학류의 서적이나 진화론에는 매우 관심이 많아서 가끔 책을 봐주곤 한다.
이 책은 교양과학서라고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저자의 유머감각이 뛰어나서 재밌게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내용도 당연히 있기 때문에 읽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두 달에 걸쳐서 한 꼭지씩 천천히 봐줬다.
목차만 읽어도 책의 절반을 읽었다는 말이 있는데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들을 살펴보자.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진짜 광속구를 던지면
사용 후 핵연료 저장 수조에서 수영을 하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1
타임머신을 타고 뉴욕으로
세상에 소울메이트가 1명뿐이면
다 같이 레이저 포인터로 달을 겨냥하면
원소 벽돌로 주기율표를 만들면
70억 명이 다 함께 점프하면
두더지 1몰을 한자리에 모으면
꺼지지 않는 헤어드라이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2
인간의 마지막 빛
기관총으로 제트 추진기를 만들면
하늘로 계속 올라가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3
핵잠수함을 타고 지구 주위를 돌면
단답형 질문 모음
번개와 관련한 질문 모음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4
인류의 연산 능력
어린왕자가 사는 행성
하늘에서 스테이크가 떨어지면
골키퍼까지 날아가게 만들려면
감기 전멸시키기
갑자기 물 잔의 반이 비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5
외계인이 우리를 보면
인체에서 DNA가 사라지면
다른 행성에 비행기를 띄우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6
〈스타워즈〉 요다의 파워
비행기가 가장 많이 지나치는 주
헬륨 가스통을 들고 뛰어내린다면
다 같이 지구를 떠나려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7
인간이 자가수정을 한다면
가장 높이 던질 수 있는 높이
초신성과 중성미자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8
과속방지턱을 그냥 달리면
영원히 죽지 않는 두 사람이 만나려면
궤도에 도달하기 어려운 이유
인터넷보다 빠른 페덱스
가장 오래 뛰어내릴 수 있는 곳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9
영화 〈300〉처럼 태양 가리기
바다에 구멍이 난다면 1
바다에 구멍이 난다면 2
트위터로 할 수 있는 말
레고로 다리를 놓으면
가장 오랜 일몰
무작위로 전화를 걸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10
지구가 팽창한다면
무중력 상태에서 화살을 쏘면
태양이 없다면
프린트된 위키피디아를 업데이트하려면
죽은 자들의 페이스북
대영제국에 해가 진 날
차를 정말 빨리 저으면
세상의 모든 번개
가장 외로운 인간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11
거대 빗방울이 떨어진다면
모든 응시자들이 시
험을 찍는다면
중성자별 밀도의 총알을 발사하면
이상하고 걱정스러운 질문들 12
리히터 규모 15의 지진이 덮치면
이런 주제들을 과학적인 지식으로 저자의 유머감각을 섞어서 저술한 책이다.
하나만 적어보자면,
언제쯤이면 페이스북에 살아 있는 사람보다 죽은 사람의 프로필이 더 많아질까요??에밀리 던햄Emily Dunham
A. 2060년대 또는 2130년대 둘 중 하나일 거예요.
페이스북에는 죽은 사람이 많지 않죠(이 글을 쓰는 현재는 그렇습니다. 유혈 로봇 혁명이 일어나기 전입니다). 그 주된 이유는 페이스북이 (그리고 이용자들이) 아직 젊기 때문이죠. 페이스북 이용자의 평균 연령이 지난 몇 년 사이 좀 높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나이 든 사람들보다는 젊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훨씬 더 많이 이용합니다.
과거
페이스북의 성장세로 볼 때 그리고 이용자 연령대로 볼 때(페이스북의 ‘광고 만들기’ 툴을 이용하면 연령대별 이용자 수를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페이스북의 연령 제한 때문에 나이를 속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페이스북 프로필을 만든 이후에 죽은 사람은 1,000만에서 2,000만 명 정도 됩니다. 현재로서는 이런 사람들이 연령대별로 상당히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6, 70대보다는 젊은 사람들의 사망률이 훨씬 낮지만, 워낙에 젊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상당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죠.
미래
미국의 페이스북 이용자 중 29만 명 정도가 아마 2013년에 사망했을 겁니다. 전 세계로 따진다면 수백만 명이 되겠죠(이들 수치 일부에서 저는 미국의 연령대별 이용 데이터를 가지고 전체 페이스북 이용자 기반을 추정해 사용했습니다. 미국의 인구 통계 자료와 보험 통계 자료를 찾는 것이 국가별 수치를 수집해 전체 페이스북 이용자를 구성하는 것보다 더 쉬웠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전 세계의 완벽한 모형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역학 구조, 즉 인구 성장은 당분간 지속되다가 안정되는 데 반해, 젊은 층의 페이스북 채택 비율이 페이스북의 성패를 가름한다는 점은 대략 비슷할 것입니다. 현재 전체 인구와 젊은 인구가 둘 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 페이스북이 빠르게 포화 상태가 된다고 가정하면, 몇 년 내에 꽤 많은 변화가 있겠지만, 생각보다 전체적인 그림은 크게 바뀌지 않을 겁니다). 겨우 7년 만에 이 사망률은 2배가 될 테고, 다시 7년이 지나면 다시 2배가 될 겁니다. 페이스북이 내일 당장 회원 가입을 중지한다고 해도 연간 사망자수는 앞으로도 오랫동안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2000년에서 2020년 사이에 대학생이었던 세대가 점점 늙어갈 테니까요.
죽은 자의 숫자가 산 자의 숫자보다 커지는 때가 언제일지는 페이스북이 당분간 늘어나는 사망자들을 웃돌 만큼 살아 있는 새로운 이용자를(젊은 이용자라면 더 좋겠죠) 빠르게 추가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모든 내용이 과학에 관한 것은 아니다. 위에 질문처럼 통계적인 부분도 다뤘고, 약간 어렵운 점도 있지만 재밌는 과학책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