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수년간의 심리 상담 경험과 신경 언어 프로그래밍의 훈련기술을 융합하고, 심리학과 언어 기술을 교묘하게 결합한 성과물이다. 언어의 초점, 언어의 가설, 언어의 틀, 표상체계 언어, 이성적 언어, 일관된 소통 언어, 비언어적 언어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들을 습관화하면 당신은 말하는 방식, 말하는 기술을 바꿀 수
-부정적 언어의 함정을 통찰할 수 있다. - 사고의 깊은 곳에 있는 제한적 틀을 깨뜨릴 수 있다. - 일상에서 자주 만나는 갈등과 충돌을 해결할 수 있다. 주변 사람에게 사랑받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할 수 있다. -자신의 인생을 원만하게 살아갈 수 있다.
나는 지 성 전의 상관이 있다. 이 사람 중에도 대화에 능통한 달인들이 있다. 이것은 하나의 이다. 은 학습을 통해 충분히 향상될 수 있다.
"남에게 좋은 말을 해 주는 것은 포백(베와 비단)보다 따듯하고, 남에게 상처 입히는 말은 포격(창으로 찌르는 것)보다도 깊다."는 말이 있다. 좋은 말은 강한 추진력을 지니고, 폭언은 거대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좋은 마음으로 의견을 냈을지라도 관계를 송두리째 망쳐버리거나 심지어 사랑하는 사람을 다치게 할 수도 있다. 사람은 늘 상대방이 틀렸다고 전제하며 자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노력한다. 자신을 피해자로 여기고 어떻게든 자신의 무고함을 증명하려는 관성이 있다.
상대의 잘못을 고쳐 주고 싶어서 직접 잘못을 지적한다면, 아무리좋은 마음으로 말했다고 하더라도 상대는 기분이 나쁠 수 있다. 반대로 우선 상대가 옳다고 가정한 다음, 그에게 그가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말하면 그는 선뜻 당신의 의견을 받아들일 것이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옳다. 는 가정에서만 사람은 더 좋게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사람을변화시키는 지혜이다.
나는 아이에게 화를 내면 안 되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감정을주체하지 못해 자기도 모르게 화부터 내버리고 나중에야 후회하는부모들을 많이 본다. 왜 이런 상황이 일어날까? 사람은 자신에게 없는 것을 남에게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마음이 가난한 부모는 풍족한마음으로 자녀를 키울 수 없다. 자신이 어릴 적 대우받은 대로 자신의 아이를 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일만 보고 사람을 보지 못하면자녀에게 보이지 않는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도 타격을입힌다.
"우리는 상대방이 잘해 준다고 해서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반대로 우리가 그에게 잘해 주면서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식을 향한 부모의 사랑은 무엇보다 깊다. 자식은 늘 부모에게도움을 요청하고 부모는 계속해서 아이를 위해 무언가를 한다. 부모가 자식을 위해 희생할수록 자식을 향한 사랑은 더욱 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