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사회는 효율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그경제는 장기적으로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지 못한다. 어느 한 이해집단이 지나치게 큰 힘을 장악하고 있으면, 그 집단은 사회 전반에 이익이되는 정책 대신에 자기 집단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을 수월하게 따낸다.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 정치적 힘을 이용하여 자신들이 장악하고 있는기업에 과도한 이익을 몰아줄 경우, 긴급한 수요처에 투입되어야 할 정부세입은 사회 전반의 복지 향상에 쓰이는 대신에 소수의 주머니로 들어간다.
일반적인 경제 이론으로는 케인스의 질문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찾을수 없지만, 미국 사회는 충격적인 해답을 내놓고 있다.[52] 사람들은가족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일을 열심히 하면할수록 가족을 위한 여가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가족의 삶의 질은떨어진다. 즉, 수단과 공언된 목적이 모순을 이루는 결과가 나타난다.
인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법률가가 적은 나라일수록 빠른 속도로성장한다는 일부 연구들[35]은 소송 빈도가 높은 미국 사회의 특성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암시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들은 어떤 사회에 인구대비 법률가 비율이 높으면 인재들이 과학이나 공학 같은 보다 혁신적인활동 대신에 법률가로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경제의 생산성이 저해된다고주장한다.
현대 사회는 집단적인 행동을 필요로 한다. 국가는 집단적인 행동을 통해서공공 투자를 실현한다. 민간 투자자는 이런 투자로부터 비롯하는 광범한사회적 편익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에만 맡겨 둘 경우공공재에 대한 투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규제는 우리의 시스템이 보다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다시 말해 경쟁을보장하고, 힘의 남용을 막고, 스스로를 보호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을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규칙이다. 규제가 없으면, 앞 장에서 논의한 대로시장이 효율적인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는 각양각색의 시장 실패가만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