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다음 페이지의 표에 나타나 있듯이 복부비만, 상승한 혈압, 상승한 혈당, 저하한 고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이하 HDL), 상승한 중성지방이라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구성요소마다 각각의 기준이 있으며, 이 다섯 가지 기준 중 어느 것이든 세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허리둘레 92cm + 혈압 135/80mmHg + 공복혈당 108mg/dl‘ 이면 대사증후군이다. 복부비만이 없더라도 ‘혈압 140/90mmHg + 공복혈당 112mg/dl + 중성지방 170mg/dl‘의 세 가지를 가지고 있다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다음 페이지의 표에 나타나 있듯이 복부비만, 상승한 혈압, 상승한 혈당, 저하한 고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이하 HDL), 상승한 중성지방이라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구성요소마다 각각의 기준이 있으며, 이 다섯 가지 기준 중 어느 것이든 세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허리둘레 92cm + 혈압 135/80mmHg + 공복혈당 108g/dl‘이면 대사증후군이다. 복부비만이 없더라도 혈압 140/90mmHg + 공복혈당 112mg/dl + 중성지방 170mg/dl‘의 세 가지를 가지고 있다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정리하면,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높은 병‘이다. 상수도는 쇠파이프로 되어 있지만, 실제 우리 몸의 동맥은 고무호스에 더 가깝다. 그런고무호스에 60~80년 정도 지속해서 120/80mmHg라는 엄청난 압력이가해진다고 생각해보라. 고무호스의 외벽이 터져 물이 새기도 하고, 내벽이 터져 막히기도 할 것이다. 고무호스가 찢어지는 현상을 동맥 파열, 막히는 현상을 죽상동맥경화라고 한다.
이 고혈압은 혈압, 즉 동맥압이 만성적으로 정상보다 높아진 질환이다. ②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은 유전과 노화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활습관에 있다. ③ 고혈압의 증상은 뚜렷하지 않으며, 조절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생길 수 있다.
한마디로 혈압약은 혈압을 그냥 낮춰주기만 하는 약이며, 이렇게혈압을 강제로 낮춰 정상 혈압으로 유지해주는 것만으로도 고혈압으로인해 발생하는 뇌경색, 뇌출혈, 심부전, 심근경색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시력이 나쁜데 안경을 쓰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끼지만, 혈압은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도 당장 이렇다 할 불편함을 느끼지못한다. 그래서 내버려두는 경우가 있는데, 문제는 그러다가 중풍이나심근경색 등으로 쓰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시력이 나쁜 사람이 안경을안 쓰면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정도에 그치겠지만, 고혈압은 내버려두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처음에는 저염식이 맛이 없어 괴로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인체는신비로워서 3주만 참고 저염식을 하면 생달갈에 소금을 찍지 않아도미세한 짠맛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3개월을 참고 먹으면 외식이 너무 짜고 자극적이어서 입맛에 맞지 않게 된다. 이렇게 외식을 못하는 경지가 되면 저염식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혈압이 떨어진다.
둘째, 칼륨 섭취 증량이다. 칼슘이 아니라 칼륨이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칼륨 섭취를 늘리는 것이 고혈압 치료에 상당히 도움이 되며, 특히 고염식을 하는 경우 칼륨을 많이 섭취하면 나트륨과 칼륨이 경쟁적으로 작용해 나트륨을 배설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혈압을 떨어뜨리는효과가 매우 크다고 말한다. 소위 나트륨을 줄이고, 칼륨은 늘리는 것이 고혈압 치료의 기본이다. 칼륨은 채소에 많이 들어 있다. 쉽게 말해채소를 많이 먹으라는 뜻이다. 고혈압 환자들은 스스로 초식동물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채소를 많이 먹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