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금리 시대가 온다 - 누구에게는 위기, 누구에게는 기회가 온다
김지만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우리나라도 금융위기 이후로 저성장 저금리 자본주의 경제체제에 들어섰습니다. 하지만, 선진국과 달리 제조업과 수출이 주요 산업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금융자본이 약한 우리나라에서는 금리가 제로금리까지는
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로 유행하면서, 각국은 경제회복을 위하여 유동성을
늘리고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급히 금리를 내렸고,
이웃의 일본이나 유럽과 같이 제로금리 수준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경기가 회복되면
금리가 다시 오르겠다는 생각보다는 이러한, 저금리나 제로금리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어떠한 위기가 있던 시대에서도 그것을 기회로 이용하였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
책에서도 제로금리 시대를 이해하고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책은
총 네 파트로 나뉘어서 금리에 대한 이해와 제로금리 시대를 먼저 이해한 뒤에, 제로금리를 먼저 경험한
국가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용되었을 때의 상황에 대해서도 살펴 봅니다. 마지막으로 제로금리 시대에는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주식, 채권
및 부동산 등 여러 투자 대상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본의 저금리와 잃어버린 20년을 통해 간접적인 경험을 이미
할 수 있었던 것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한국은 현재 0.75%인
기준금리이고 마이너스 경제 성장이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코로나19와 전세계 국가들의 위기 대응에 따라 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거처럼 소비나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한 금리인하 목표와
달리, 스포츠, 운송, 여행
관련업은 거의 스톱 상태이며, 국가간의 통제로 인하여 기업이나 학교 등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으며, 소비를 위한 사람들의 이동 자체가 제한되어 있는 특이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오히려, 가계부채를 증가시키고 부동산 가격만 급등시키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저자는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큰 흐름을 염두에 둔 대응이
필요한 시대라고 합니다.
책에는 현재 상황에서 투자를 위해 지켜야 할 원칙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장기분할 투자와 이동평균선에 대한 내용, 평균 매수단가 측면에서 매월 일정 주식 수보다는 일정
금액을 사는 것이 유리한 이유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금리 시대에 주식과 채권시장, 부동산 시장 및 해외 투자 시장을
어떻게 파악하고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제로금리시대라
당황할 수 있지만, 하루라도 더 빨리 익숙해지고 이런 환경에서의 투자 마인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시간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