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쩌다, 검찰수사관 - 대한민국 검찰의 오해를 풀고 진실을 찾아가는 그들의 진솔한 현장 이야기
김태욱 지음 / 새로운제안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들어 검찰의 무소불위 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국민의 염원이 하나씩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 동한 검찰에 대해서는 경찰도, 국민도, 정권도, 견제할 권한이 없었기에 누구보다 공명정대하고 스스로에게
더 냉정해야 하지만, 지금까지는 그 반대였습니다. 스스로에게
누구보다 관대하고, 검찰 조직에 반기를 드는 자에게는 누구보다 잔인한 모습을 보여왔기에 그들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반감이 상당히 누적되어 높아져 있던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올 해부터 공수처를 통해 최소한의 견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검찰
조직에는 상명하복을 목숨처럼 여기고, 불법 조사를 지휘하는 검찰과 그 아래에서 실질적인 업무를 하는
검찰수사관이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검찰수사관에 대해서는 그리 알고 있지를 못합니다. 방송에 가끔 나오는 압수수색하는 모습이 우리가 접하는 검찰수사관 모습의 상당 부분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 책은 검찰 공무원으로서 27년간 근무하고 있는 현역 검찰수사관이
쓴 그들이 하고 있는 현장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검찰 공무원에도 여러 직무가 있듯이 검찰수사관이
되면, 어떤 일을 하는지 이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해한다면, 검찰
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이나, 그들에게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책은 총 5장으로 구분하여 검사실에서 하는 일, 사무국에서 하는 일에 대해 먼저 설명을 하고 검찰수사관과 검사 또는 경찰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려 주고 있습니다. 이어서 공무원으로서 근무 여건에 대해서 알려 주고 검찰 수사관에 대한 여러 궁금한 내용도 풀어내고 있습니다.
검사실 아래에 형사부, 강력부, 공공수사부, 외사부, 공판부, 특수부와
같은 조직이 있으며, 각자 담당하는 사건들의 차이가 있습니다. 각
부서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업무의 형태나 해당 부서에 필요한 능력이나 주요 업무 처리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조직인 사무국 아래에는 총무과, 사건과, 집행과와 같이 행정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가 있고, 수사과 및 조사과와 같이 사건을 수사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부서도 있습니다. 저자의
수사 및 현장 출동 경험과 조사 과정에 대한 경험담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분야별로 전문성을 가진 수사관들도 있으며 검찰수사관 임용 2년이
지나면 자신의 전문 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변경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평소에도 궁금했던 검찰수사관과 경찰의 관계였는데, 역시 보이지 않는
감정싸움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검사의 지휘를 받지 검찰수사관의 지휘를 받지 않는다는 경찰의
생각을 볼 수 있었고, 검사와 검찰수사관의 조직에서 상하관계이지만 서로를 존중하는 인간적인 관계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검찰수사관의 실제 업무 환경이나 업무 내용들을 접하게 된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엄연한 공무원이고 그들이 담당하는 업무도 다양하게 있으며,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