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계급 사회인 조선 시대의 역사적인 이벤트에 대해서는 학창시절 역사수업을 통해 많이 배웠습니다. 사회에서는 대하드라마와 같은 방송매체를 통해서 권력자들의 삶의 모습이 어떤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외의 역사적인 지식들은 관련 책이나 영화와 같은 다른 매체를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 실린 18~19세기
서울 양반의 모습에 대해서 다룬 책은 지금까지 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전통적인 조선의 사회와 계급 사회가 무너지는
근대로 넘어가는 단계에서의 서울 양반들의 생활 방식, 취미, 기호
등을 통해 변화하는 사회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저자는 조선의 생활사 서술에 도전하기 위해 과거 ‘서울, 세시, 한시’라는 책을 펴내며 참고하고 인용하였던 자료와 함께 새롭게 자료를 모았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조선 최초의 세시풍속지인 유득공의 ‘경도잡지’ 중에서 ‘풍속’편을 반복하여 읽은 후 이번 저술의
뼈대로 삼았다고 합니다. 이 책은 당대인이 만든 뼈대에 저자가 살을 붙여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 책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인터넷으로 서비스 되고 있는 내용들
중 많은 오류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해당 오류 문제에 대한 내용을 글로 제출한 바도 있다고 합니다.
총 19가지 이야기들이 4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장은 의관 갖추어 행차할 제, 폼에
살고 폼에 죽고, 먹는 낙이 으뜸일세, 멋들어지게 한판 놀아야지
의 주제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양반들의 행차가 있을 때 길을 트기 위해 외치는 소리를 가도 소리라고
하는데, 흔히 방송에서는 ‘물렀거라~’만 들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양반의 위세에 따라 외치는 소리도 달랐다고 하며 특히, 왕이 행차할 때는 ‘시위~’라고 소리쳤으며 이를 권마성이라고도 했다고
합니다.
당시 서울에는 세 군데에서 큰 장이 섰으며, 장을 보는 사람들이 아침에는
동편의 배오개와 서편의 소의문 밖에 미리 모여 있다가 정오에는 중앙의 운종가에 모였다고 합니다. 이곳에서
소비되는 것 중에 동부의 채소와 칠패의 생선이 가장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물건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좋은 물건을 남들보다 싸게 사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이 당시에는 과거의 그림으로
된 참고 자료와 달리 흑백사진으로 된 자료들이 남아 있어서 당시 모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남촌의 술, 북촌의 떡이 유명하였다고 합니다.
풍류를 즐길 줄 알았던 동방의 나라답게 꽃놀이, 연주, 춤, 연극 그리고 글과 그림을 즐겼으며, 투전판의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당시의 악기 종류, 춤추는 형식, 연극 이야기들은 처음 접하는 내용들이 많아서 신기했습니다. 다른 역사 서적과 달리 현실적인 모습과 사료를 함께 알 수 있었던 좋은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