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가족 위암에서 구해내기 - 위암의 예방, 증상, 진단, 수술, 치료, 식단 관리와 레시피
이경실 지음 / 성안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암은 대한민국 주요 사망 원인의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보험에
가입하거나 조기 발견을 위해 건강검진을 받고 있습니다. 이 암 중에서도 위암은 우리나라가 전 세계 발명 1위 국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사망률은 10위권 밖이라고 하니, 이는 위암 발견 이후의 치료나 관리 방법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암
환자나 가족들이 의사와의 짧은 상담으로는 주로 의학적 치료에 대한 대화만 있을 뿐, 각 개인의 다른
건강 환경에 따른 관리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정보가 부족합니다. 이 책에서는 위암의 예방, 진단, 수술, 치료, 식사 및 수술후의 다양한 증상에 대해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암
환자의 건강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됩니다.
책은 총 23챕터의 주제를 크게 세 파트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계 1위, 우리나라
남성 암 발생 1위인 위암은 예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중요한
식단은 신선 식품을 최소한만 조리해서 먹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양념을 적게 사용하고 탕,
찌개 형태 대신에 찜, 데치기, 짧은 시간 볶음
정도의 요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찬도 굳이 먹어야 한다면,
밑반찬 보다는 두부나 어육류를 메인 반찬으로 항상 먹으라고 합니다. 그리고, 암을 방지하기 위해 고기를 피하지만, 아예 먹지 않아도 심혈관 질환이나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하니, 책에 언급한 양 만큼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위암 수술 후에는 소화력도 떨어지지만 한 번에 먹는 양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특히, 근감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단백질을 잘 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단백질은
저장되는 영양소가 아니며, 한 번에 흡수되는 양도 정해져 있다고 하니,
하루의 어느 한끼에 몰아서 먹는 것보다, 매 끼니마다 챙겨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루에
필요한 양도 체중 1kg당 0.8g 정도이지만, 암 환자나 수술 이후 회복중이라면 1g의 단백질이 필요하며, 노쇠나 근감소를 막으려면 1.2g 정도라고 합니다. 참고로, 육고기 100g중에 20g이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고기가 먹고 싶지 않은 마음이 생기는
것이 노쇠의 첫 증상이며, 만성 체력 저하 상태일 경우 고기를 먹고 싶지 않다고 하니, 이럴수록 단백질 보충을 위해 생선, 고기, 계란, 우유나 두유, 치즈, 콩이나 두부 또는 단백질 보충제를 먹는 것을 적극 권하고 있습니다.
위암은 가족력 보다는 함께 공유하였던 식습관 때문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부모님에게 위암이 생겼다는 것은 가족들의 식습관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봐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국가에서도 40세 이상인 경우 2년에 한 번씩 위 내시경 검사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으니, 위암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적어도
초기에 발견하여 완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인의 식습관이 불안하신 분이라면 이 책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고 위암을 미리 예방하는데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