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가 맞이할 세상, 새로운 미래직업 - 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김승.이정아.정동완 지음 / 미디어숲 / 2017년 8월
평점 :
1차 산업혁명에서 3차
산업혁명까지는 새로운 직업의 탄생과 일부 직업의 소멸이 생겼습니다. 전체적인 직업을 고려하였을 때도
학생들이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고민할 필요 없이 당시에 했던 학습이나 미래 준비를 그대로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은 지금까지 접하지 못했던, 미래 자동차, 드론, 인공지능, ICBM, 가상현실, 차세대 실리콘 반도체, 디지털 헬스 케어, 스마트 팩토리,
우주산업 분야에서 많은 직업들이 생겨난다는 이야기를 접했던 것 같습니다. 이와 연관되어
지금은 화려한 직업이지만 미래에는 그 존재가 완전히 사라진다고 예측되는 직업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큰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학생들이 제대로 된 직업군을 예측하고 파악하는데 이 책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이들이 선호하는 직업 중 70%가 미래에는 기계가 대신 할
것이라는 말은 예상보다 범위가 커서 놀라웠습니다. 우선 학생들이 미래를 위해 아무리 준비하고 싶어도
학교에서 변화가 없으면 실현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학교의 교육방식이 조금씩 변화할 것이며,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교육이나 원격 교육 같은 스마트 학습이 더 필요할 것입니다. 현재도 TED나 MIT 대학의
강의를 온라인으로 언제든지 볼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런 다양한 교육기회를 통해
학습할 기회는 이미 준비되어 있으며, 우선 자신의 적성이나 강점에 맞는 분야를 먼저 찾아 봐야 합니다. 8가지 지능 중에서 3가지 강점 지능을 찾는 것이 기본이며, 이미 선택한 직업 분야의 변화에 대해서도 계속 예측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요즘 교육에서도 강조하는 창의적 융합인재라는 말처럼, 직업분야에서도
창조와 융합으로 새로운 직업이 계속 생겨날 것이고, 본인이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도 우리나라에 없는 외국 직업 중에 우선 도입 대상이 44개와
추가로 17개의 신 직업을 발표했을 정보로 처음 접하는 직업이 많이 생겨날 것입니다. 특히, 기술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환경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화, 글로벌 환경의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줄 것입니다.
지금의 기성세대들도 현재의 직업을 평생 유지하거나 정년퇴직까지 할 수 있다고 장담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아마도 지금의 학생세대에는 다양한 직업을 할 수 있는 창조적인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책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도 100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내가 잘
할 수 있는 창조적 분야가 뭔지 알아보고 준비해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