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30 고용절벽 시대가 온다 - 4차 산업 혁명은 일자리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이노우에 도모히로 지음, 김정환 옮김 / 다온북스 / 2017년 4월
평점 :
4차 산업혁명 이후의 변화 중에서 일자리와 관련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룬 책입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애플의 시리나 자율주행자동차,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들이 사회의 전 분야에서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한 분야에만
전문적으로 인간의 능력을 대체하는 수준의 로봇들이 등장이 시작되었고, 인간의 지성까지 능가하는 로봇들이
나올지 이 책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책은 인공지능이 미래의 직업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시작으로, 2045년경까지 인공지능으로 가능한 것에 대한 기술적인 전망을 다루며, 2030년 이전에는 경제적 영향, 고용과 성장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4차산업 혁명 이후의 경제 모습과 인공 지능을 먼저 도입한 나라와 못 한 나라에 대한 전망을 다루었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노동이 소멸된 미래에 적합한 제도로 기본 소득제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로봇들이 대체하는 고용시장에서는 저임금의 육체 노동층, 중임금의 사무
노동층 그리고 고임금의 두뇌 노동층의 3가지 소득단계 중에서 사무 노동층의 일자리를 상당부분 먼저 대체할
것이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임금과 저임금의 양극화 시대가 되며, 이어서
육체 노동층도 기계가 일자리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 보급되는 디퓨전 시간이
점점 짧아 지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기술적 실업 이야기는 미래의 이야기로 생각할 수만 없습니다. 인공지능의
처리 속도 발달로 인하여 무엇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정의되는 기술적 특이점에 대한 내용도 접할 수 있습니다. 이미 저명한 여러 학자들의 예상들이 어느 정도 맞아지고 있다는 것도 놀라웠으며, 그들의 예측이 현실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세계인구의 10퍼센트만이 직업을 가질 수 있는 미래를 예상하기도 하지만, 인공지능에게 영향을 덜 받는 직업군인 창조성 계열과 경영,관리 계열, 고객 감동 계열에 대해서도 능력을 키우거나 관심을 가진다면 직업을 가지는데 유리할 것이라고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본소득제도는 쿠폰형 시장사회주의의로 볼 수 있지만, 인공지능으로
대체되는 미래에 인간의 존재가치를 찾는 유효한 방법중의 하나라고 공감하는 바 입니다.
최근의 뉴스에서도 일본은 편의점에서 일할 사람이 부족하여 로봇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과 경제의 변화를 빠르게 따라잡기 위하여, 세계
곳곳에서 처음 시도하거나 연구하는 것들에게도 관심이 필요할 때라 생각됩니다. 대한민국이 더 성장할 것인지, 도태될 것인지, 미래가 달려있기 때문이며, 지하자원이 필요 없는 인공지능 기술이야 말로 우리나라에 더 할 나위 없는 좋은 선물이 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