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열기자의 오답노트
박재역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7년 2월
평점 :
학창시절에 국어가 별로 어려운 과목이 아니라고 생각되었지만, 어른이
되고 나니 어리석은 생각이었고 학생시절에 어문법을 좀 더 관심 있게 공부해 두지 못한 것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교사에서 시작하여 동아일보 교열기자로 20여년간, 그리고
중국해양대학교 한국학과 교수의 경험과 함께 현재는 글쓰기 강의와 문서 컨설팅 및 문서 교열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어문교열사 양성 교육도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 이 책은 저자가 교열 직업을 시작하면서 지금까지의 이야기와 어문법을 정리한 책이라 합니다.
총 3부로 구성된 책은 교열 일을 하면서 겪었던 이야기, 교열을 배우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수정하고 다듬는 노하우, 글을
쓰거나 다듬는데 필요한 어문법 노하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자 역시 교열이 뭔지도 모른 상태에서 취재기자의
글을 수정하며 교열인생이 시작하였고, 어문법 이외에도 글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과 사투리와
관련된 이야기도 재미있었습니다. 생활하면서 모든 것을 기자수첩에 무작정 적는 습관과 스마트폰 시대의
심플노트와 폰카메라를 이용해 직업에 충실한 모습도 볼 수 있었고, 전문직으로서 사용하는 문서도구나 활용에
대한 세상도 엿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문장을 길게 쓰는
것, 피동형 문장, 문장부사를 많이 쓰는 것, ‘화,적,들’을 많이
사용, 격조사의 지나친 생략과 관형격조사의 많은 사용, 관형어의
중복, 외래어의 많은 사용, 번역투 표현 등 좋지 않은 글
습관에 대한 내용은 짧은 내용이지만 개인적으로 매우 유익한 부분이었습니다. 책에 실린 어문법에 대한
내용은 내용이 방대하고 아직 초보 수준이 제가 감히 평가할 것이 아니지만, 소형 어문법 참고서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저자가 말하는 교열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어문법 지식, 집중력, 경험의 세가지 중에서 경험은 얻기 힘들지만 일반인으로서 글쓰기에 필요한 어문법은 충분히 배울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학생시절과는 다른 느낌으로 우리말, 우리글의 몰랐던 부분을 알아가는
재미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