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싸리 정사 화장 시리즈 2
렌조 미키히코 지음, 정미영 옮김 / 시공사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회귀천 정사에 이은 작가의 '화장' 시리즈 나머지 3편이 담긴 단편집. 결론부터 말한다면 이 단편집쪽이 회귀천 정사보다 더 재밌고 술술 잘도 넘어갔다. 게다가 뒷쪽에 '양지바른과 사건부'라는 또다른 단편 시리즈 3편이 실려있는데,같은 작가가 썼나 의심할만큼 극과 극이지만 이 역시 의외로 웃기고 재밌었다는 것 역시. 

이 책에 실린 것은 '붉은 꽃 글자' '저녁싸리 정사' '국화의 먼지'. 붉은 꽃 글자는 어릴적 여동생 미쓰와 헤어진 오빠인 '나'를 중심으로 서술되는 이야기다. 비록 피는 섞이지 않았으나 친남매와도 같았던 그녀와의 재회. 거기에 엄친아격인 동창생 미즈사와가 섞여들면서 사건은 비극적으로 진행되어 간다. 미즈사와는 동문스승의 딸과 약혼까지 한 바람둥이였던 것. 비록 몸을 파는 것은 아니나 기생이 된 미쓰와는 처지와 격이 틀린 셈이다. 그들의 운명은 어떻게 되어갈 것인가? 

두번째이자 표제작인 저녁싸리 정사는 서생(싸리. 그의 성씨에 싸리꽃을 뜻하는 한자가 들어가있다)과 정치가의 부인(역시 그녀의 이름에 저녁을 뜻하는 한자가 있음)의 이룰수없는 사랑-그리하여 마침내 동반자살한 정사를 서두애 내세운다. 흔하디 흔한 연애사건이나 비극적인 운명에 몇년간이라도 마음 아파하는 사람들. 그러나 진실속의 진실은? 

세번째인 국화의 먼지는 병으로 쓰러진 군인 남편과 아내의 이야기. 자살인가 혹은 타살인가? 그리고 부인의 사연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또한 어떠한 것인가. 

표면의 사건과 결말 부분에 나타나는 놀라운 반전들까지-정말 앞서 회귀천 정사보다 더욱 발전된 작가분의 필력을 보는 것 같았다. 아울러 이 작가분치고는 좀 더 산뜻해졌다고나 할까?

게다가 뒷쪽에 실린 양지바른과 사건부는 서두에 썼듯 도저히 이 작가의 작품이라고는 믿기 힘들었다. 이런 유머 미스터리를 쓸수 있는 작가였던가?! 마치 '수수께끼 풀이는 저녁식사뒤에' 라든가 '삼색털 고양이 홈즈' 등의 작품을 보는듯 했다. 게다가 추리적인 요소도 결코 빠지지 않았으니,신문사의 한가한 부서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소동과 사건을 다룬 이 시리즈도 좀 더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여지껏 읽었던 작가의 세 단편집 중 가장 마음에 들었고 재밌었다고 생각되는 '저녁싸리 정사'. 작가의 다음 작품도 번역뇌어 나오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귀천 정사 화장 시리즈 1
렌조 미키히코 지음, 정미영 옮김 / 시공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이 작가의 작품을 읽은 것은 이번으로 2번째다. 게다가 3번째인 '저녁싸리 정사'도 이미 사두긴 했고. 공교롭게도 매번 단편집이며 심지어 3번째 소설도 단편집이니 공교롭다면 공교롭다고 할까? 

전작에서 알았지만 이 작가분 취향은 아무래도 끈끈한 남녀간 정사와 미스터리 및 살인이 얽힌 내용인 모양이다. 이 단편집도 제목에서 알수 있듯 꽃과 정사(이룰수 없는 사랑을 죽음으로 이룬 내용)와 미스터리에 관한 내용이니 말이다. 

다만 첫번째 단편집은 된발음이 나게 번역을 한 데다 내용이 좀 더 기괴하여 취향이 아닌 부분도 많았는데,이번 단편집은 미스터리도 더 강화된거 같고 번역문체도 좀 더 산뜻하여 읽기에도 좋았다. 뭐 끈끈하다는 느낌은 지울수 없었고 그 점에서 내 취향은 아니기도 하지만. 

꽃에 얽힌. 미스터리가 있는. 어딘가 모호하며 환상적인. 혹은 살인...... 

옛 작가로 따지면 이 작가보다야 요코미조 세이시쪽이 좀 더 취향이긴 하나 이 작가분 작품도 관심은 간다. 다음에는 장편도 번역되보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트셰이드 - 금지된 사랑의 시작,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5-1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5
앤드리아 크리머 지음, 이영아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이제는 하나의 장르로 정착이 되는듯 하다. 적어도 국내에서는 그 시조가 된 '트와일라잇' 시리즈를 시작으로 이 장르 소속의 책들이 꾸준히 번역되어 나오는 것을 보면. 게다가 나 역시 어쨌든 판타지의 영역이면 흥미가 매우 크니 반쯤 포기하면서도 반쯤 기대하며 읽어보게 되는 것이다. 

표지의 색감과 느낌이 제법 강한 이 소설의 주인공은 역시나 10대 후반의 소녀 칼라. 다만 조금 특이한 것은 그녀가 인간이 아니라는 것. 늑대 일족의 알파이기까지 하다. 그녀는 다른 늑대일족의 소년 렌과의 결합을 앞두고 있는 몸인데,어느날 인간의 접근이 금지된 산속에서 셰이라는 아름다운 소년을 만나 구해주게 된다. 

이로 인해 칼라의 운명은 크게 흔들리고...렌과 육체적 열망에 들뜨면서도(다만 순결한 몸이긴 하다. 결합전까지 여성 알파는 깨끗한 육신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 셰이에게 끌려가는 마음을 거부하지 못한다. 또한 자신들같은 가디언과,가디언이 지켜야 할 키퍼,그리고 서처들과의 싸움까지 그녀를 혼란에 빠트리는데...... 

서처는 키퍼와 가디언의 적. 그러나 그것이 어디까지 진실이었을까. 또한 보통 인간인줄로만 알았던 셰이에게도 무언가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있던 것이다. 아울러 렌의 돌아가신 부모님에게조차도. 

3부작으로 이어진다는 이 소설은 제법 흥미진진하다. 상당히 두껍지만 별로 지루하지 않았으니 얼마전 읽었던 윙스보다 약간은 나으려나? 배경이 된 일족들의 운명과 싸움과 전설도 그럭저럭 양념수준은 충분히 된듯 하고. 

하지만 모든 것은 여주인공을 위한 들러리. 동시에 트와일라잇보다 나을게 없다는 생각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르세미술관展 : 고흐의 별밤과 화가들의 꿈 (대도록)
지엔씨미디어 편집부 지음 / 지엔씨미디어(GNCmedia)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아무래도 2년마다 1번씩 하는 모양인데 2009년에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몰라도 아무튼 가질 못했다. 그러니 이번 연도에는 가는수밖에. 게다가 대도록에 평일 입장권까지 1장 준다고 하니 결국 도록을 사서 그 표로 가보게 되었다. 

4년전 전시보다 작품수도 엄청나게 많아졌고 (비록 이번 전시보다 4년전이 더 취향이기는 했으나) 역시 명작은 모르고 봐도 명작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물화보다 풍경이나 정물을 좋아하기에 그 점에서 다소 아쉽긴 했어도 말이다. 뭐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감동적인 그림도 많았으니 멀리서 온 보람은 충분했다고 본다.

다만 한가지. 이번에는 그때보다 초딩 저학년들의 단체관람이 너무 많았다. 그래서 관람에 절대 몰입하기는 힘들다. 대체 작품에 관심도 없는 애들을 왜 자꾸 데려오는가? 애들 자신에게도 지루할 것이고 다른 관람객들에겐 엄청난 피해가 아닌가? 제발 입장 제한 좀 하란 말이다. 

아무튼 모르고 봐도 좋으니 한번 관람하시길 바란다. 개인적으로는 역시 풍경화들이 마음에 들었지만 인물화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특히 관람을 꼭 하셔야 할듯 하다. 또한 도록도 내용이 충실해서 마음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들의 나침반
미즈키 히로미 지음, 김윤수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신인 작가인데다 국내엔 처음으로 소개되는 작가의 작품. 일반 소설이라면 물론 사지 않았겠으나 추리 소설이기에 일단 구매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결론부터 말한다면 상당히 깔끔하고 훌륭한 전개속도에 결말도 잘 마무리 지은 느낌으로,괜찮은 추리소설 겸 성장소설이라 할수 있겠다. 거창한 트릭은 없으나 역자분의 말처럼 소녀들의 사건에 현실적으로 대단한 수법이 쓰이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도리어 설득력 있는 수준일수도! 

이 소설은 홀수장이 현재-짝수장이 과거로 진행된다. 주인공 마리아는 신참내기 여배우로 어느 로케지에 도착하게 되는데...출발부터 무언가 어긋나는 조짐을 겪는다. 대본부터가 자신이 받은 것과 감독이 말한 것이 틀리다는 점. 게다가 그 대본은...4년전 과거 '살인'이라고조차 드러나지 않은채 마무리되었던 '자신이 저지른 살인'. 바로 그 사건과 너무나도 흡사하게 자신을 범인이라 지목하는 역할이었던 것이다. 즉 대본상 자신이 맡은 여주인공은 살인을 저지르고 기억속에 봉인했으나 그것이 어떤 계기로 드러나면서 심리적으로 쫓기는 역할이었던 것. 

그리고 과거에는 연극에 재능이 있는 4명의 여고생들끼리 만든 나침반이라는 극단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속 연극부와는 여러모로 맞지가 않아 그녀들끼리 각본도 쓰고 연출도 하고 연기도 하는 소규모 극단을 만든 셈이다.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지만 차차 나아가는 그녀들-그러나 알수없는 훼방과 납득할수 없는 사건들도 차례차례 앞을 가로막는다. 그리고 가나메라는 멤버가 '자살'을 하고 마는데...... 

종장에서 과거와 현재가 합쳐지면서 마침내 4년전의 진실이 드러난다. 어느 정도 범인은 짐작했으나 그것이 어색하지 않게 마무리 된 점은 작가의 능력을 짐작하게 해준다. 소위 말하는 청춘 소설로도,또 추리 소설로도 크게 나무랄데 없는 이 작품은,거창한 점이 없으나 읽고 나서 최소한 재미없다는 말은 나오지 않을듯 하다. 

그러므로-작가분의 다음 작품이 번역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