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개의 고양이 눈 - 2011년 제44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최제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최제훈님 하면 퀴르발 남작의 성으로 인해 매우 기대하는 작가가 되었다. 우리나라 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참신한 소재와 톡톡 튀는 구성-아울러 기발한 내용들까지. 그러니 2번째 신작이 나왔다는 소리에 정말 한점의 주저함도 없이 얼른 사보게 되었던 것이다. 

이번 것은 표지부터가 매우 4차원적이다. 그리고 내용의 구성 역시 퀴르발 남작보다 훨씬 4차원작이라고 본다. 최초의 장편이라고 설명되있긴 하지만,연작 단편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아무튼 꼬리에 꼬리를 무는 복잡다단한 내용...마치 우로보로스의 뱀같은 이미지가 연상되곤 한다. 그러면서도 재미를 잃지 않으니 작가분의 역량에 그저 감탄할뿐. 

첫번째 이야기는 추리의 고전인 밀실살인이다. 끝이 조금 모호하게 끝난다는 점만 뺀다면 꽤 훌륭한 단편 추리로 봐도 좋을듯 하다. 아울러 이후의 두번째부터 마지막 이야기까지는 정말 생각하고 생각하며 집중해서 봐야 겨우 이해할까 말까...이 얘기의 주인공이 저 얘기에서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고,이렇게 봤던 사람이 저렇게 되버리는 그런 느낌? 

환상과 추리와 미스터리와 스릴까지. 복잡하긴 하지만 즐겁게 볼수 있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조금만 더 깔끔하게 가다듬었으면 하지만 그거야 내 생각일 뿐이고. 이제 작가님의 3번째 소설을 기대해본다. 장편이든 단편이든간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로관의 살인 아야츠지 유키토의 관 시리즈
아야츠지 유키토 지음, 권일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아야츠지 유키토. 새삼 말할 것도 없이 현재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본 추리소설 작가. 왜냐하면 본격 추리소설을 쓰기 때문이다. 가장 추리에 충실한 작품을 써내는 작가라고나 할까? 하지만 번역된 작품은 얼마 되지 않아 늘 새 작품에 목말라했는데...이번에 미로관 살인사건이 신작목록에 뜨자마자 바로 사버리고 말았다. 

이 작품은 그야말로 트릭과 반전과 깜짝 놀랄 결말의 향연을 보여준다. 여지껏 읽어본 국내 번역작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라고 대번에 정했을 정도? 처음부터 끝까지 그야말로 숨돌릴 틈 없이 사건이 벌어지고 추리가 이어지며 반전의 반전을 보여준다. 

무대는 예의 '그 건축가' 가 지은 미로관. 이곳의 주인은 절필을 선언한 추리계의 거성인 노작가 미야가키. 그는 자신의 생일에 후계자 후보로 선정한 네명의 제자를 불러들여 이런 말을 남긴다-'미로관에 머무르는 기간동안 자신이 설정한 내용에 맞는 최고의 걸작을 써낸 이에게 자신의 유산을 남기겠다' 라는. 그뒤엔 짐작하는 바 대로 연속적인 살인이 이어지는데...... 

아. 역시 분하지만 적어도 본격 추리에서는 우리가 아직도 일본에 뒤지고 있는 것일까. 작년에 읽은 '리라장 살인사건'도 그렇고 이 '미로관의 살인'도 그렇고 몇십년전에 쓰여진 작품이 이토록 굉장하다니! 

부디 한시라도 빨리 아야츠지 유키토의 다음 작품이 출간되기를 바란다. 기왕이면 관 시리즈가 모두 나와주면 하는 바램이 정말,매우,진실로 간절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가의 문장 1 - 고대와 현대, 시공을 뛰어넘은 로맨스의 고전
호소카와 치에코.호소카와 후민 글 그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아. 이럴수가. 신의 아들 람세스나 나일강의 소녀라는 제목들을...아마 만화를 좀 보신 분들이라면 최소한 들어본 적은 있을 거다. 물론 보신 분들도 많을 것이고. 76년부터 연재가 시작됬다는 이 만화는 당연히 완결도 되지 않았으나...작가가 정판을 절대 내주지 않는다는 소리가 나돌면서 정식판은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이럴수가! 설마 (어느 분이 덧글을 쓰신 것처럼) 내가 살아있을때 정식판이 나오다니! 순간 장난하는줄 알았고 어제 영풍문고에서 동생이 사오고 나서야 겨우 믿게 되었다. 

내용은 다들 아주 잘 아실테니 빼고~일단 겉표지는 햇빛에 비춰보면 반짝이는 무늬가 들어간 것이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만 애장판이라고 8천원이라는 점은 뭐 좀 비싼거 같지만 요즘 물가가 있으니 역시 감안은 해야겠지. 

같은 시기의 유리가면은 대작으로 불리우고 나 역시 정말 감탄하며 보는데-그에 반해 이 만화는 왠지 모르게 폭소와 때로는 엄청난 패러디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이유는 읽어보면 아실터. 하지만 어쩌랴? 그 유치함이 이 만화의 중독성 넘치는 매력인 것을! 

부디 이번에는 끝까지 잘 나와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아울러 작가들 살아생전에 제발 완결나는 모습을 좀 봤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온다 리쿠 지음, 박수지 옮김 / 노블마인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온다 리쿠. 거의 모든 작품을 읽었을 정도로 일본 작가 중 가장 좋아하는 작가 베스트에 드는 소설가다. 그러니 올해 신작이 나왔다는데 안사볼수 있을까? 더구나 구정 연휴전에 도착까지 했으니 더 바랄게 없는 것을. 

이것은 단편집이다. 그런데 각 내용이 미묘하게 연결되면서 끝에 가서 책장을 덮을땐 '아......'하는 작은 탄성이 나오게 된다. 아울러 비록 페이지 수는 얇지만(책 가격에 비한다면 더욱) 담긴 내용은 짧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제목과 표지 내용 그대로-언덕 위의 집에서 벌어진 일들을 모노 드라마 톤으로 그려내는 단편집. 첫번째와 세번째 얘기는 이해가 좀 안되지만...다 읽고 나니 첫번째는 '그럼 그건가?' 싶었으니 결국 세번째 이야기만 빼면 다 내용이 연결되는 셈이다. 어떤 얘기는 결말 부분에 가서야 오싹함을 느꼈고...어떤 얘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공포다라는 것이 드러나지만 무섭기 보다는 뭔가 애잔함을 느꼈고. 

제목을 저렇게 쓴 것은 이 모든 공포가 아주 노골적으로 무섭진 않았지만,읽다보니 무서우면서도 아름답다는 느낌도 들어서였다. 시적이기도 했고. 오히려 이전의 여름 장미보다 더 나았다는 느낌? 그쪽은 결말이 영 그랬으니 말이다. 

앞으로도 온다 리쿠의 신작을 계속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래티나 데이터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정환 옮김 / 서울문화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 정말 엄청난 다작을 자랑하는 작가인데다 대부분의 작품이 재미있고 뭔가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는 점에서 참 대단한 작가다. 이번에도 그의 신작이 나왔다는 소리에 거의 주저없이 주문해서 읽어보게 되었는데...... 

의문의 연쇄살인사건이 벌어진다. 형사 아사마는 수사에 난항을 겪지만 곧 수상쩍은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라는-사실상 절대적인 명령에 의해-소리를 듣는다. 그것은 전 국민의 DNA를 모아 거기서 범인을 찾아내는 것. 쉽게 말해 현장에 떨어진 범인의 신체 일부에서 DNA를 추출해서 해당 시스템에 넣고 대상자를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되면 범인을 찾아내긴 쉽지만 문제는 이것으로 범인을 손쉽게 찾아내려면 전국민의 DNA를 저장해야 한다는 점! 즉 일종의 전제사회가 되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물론 상부나 시스템을 개발한 연구소 측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라는 논리로 아사마라든가 다른 이들의 염려를 묵살하지만. 

연구소의 가구라 주임은 이중인격장애를 겪으면서도 냉철한 태도로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해나가지만...이 시스템으로도 대상자가 검색되지 않는 사건이 발생하고...설상가상으로 시스템 개발자인 천재 다테시나 소키와 그녀의 오빠가 살해당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진다. 

이 수사는 더더욱 난항을 겪는데다가,가구라에게 있어선 뜻밖의 그리고 최악의 상황이 계속해서 벌어진다. 그와중에 흘러나온 다테시나의 마지막 프로그램 '모글'과 '플래티나 데이터'란 또 무엇일까. 과연 진범은 누구이고 이 시스템은 어디까지 흘러가려는 것일까? 

전국민의 DNA를 관리한다는 거. 이것은 정말 국가가 모든 국민을 손아귀에 쥐고 흔들겠다는 것과 다를바 없다. 이런 것을 소설에 멋지게 활용한다는 점이 과연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작가의 힘일까? 두께 500쪽이 살짝 넘는 두꺼운 분량이지만 전혀 지루하지 않고 끝까지 읽을수 있다는 점도 참 대단하지 싶다. 

이 다작의 원천은 과언 무엇일지......그의 다음 작품도 여전히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