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가 무언가를 원할 때, 원하는 것을 원하는 만큼 해주는 것이 사랑입니다. 상대가 원치 않는 것을, 원치 않는 때에, 원치 않는 만큼 주는 것은 받는 이 입장에서 결코 사랑이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동정심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애초 가까이하지 말아야 합니다. 부탁을 받으면 마음이 약해지고 마니, 그런 사람들이 주변에 없어야 내가 손해 볼 일도 사라지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게 어느 정도 마음의 힘이 있는 상태에서는 남을 향하는 원망의 화살을 거두고 내 탓을 해도 쉽게 상처받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렇게 내 책임을 인정하는 편이 잘못을 따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죠. 남을 탓하다 보면, 내 문제를 보지 못하게 마련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꼭 드리고 싶은 말은 조급해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서두르지 말고 한 걸음, 한 걸음 차근차근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한 사이일수록 예의를 지켜야 사랑과 우정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사람에 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 마음의 안전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내가 아무리 외롭고 힘들더라도 나 좋을 때는 상대와 한없이 가깝게 지내고, 내가 힘들 때는 상대가 가깝게 오지 못하도록 해선 안 됩니다. 오히려 상대가 나와 가까워지고 싶어 할 때는 가깝게 다가가고, 상대가 혼자 있고 싶어 할 때는 혼자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