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항로에서는 새로 태어나기 위해 죽어야 한다.
반복되는 죽음과 재생을 이끌어내는 자율적 과정, 다시 말해 피할 수 없는 변증법적 과정이 분명히 존재한다. 변화의 불가피함을 인정하고 이를 따라가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이나, 우리는 지금까지 이뤄온 것이 무너지는 데 당연히 저항하게 될 것이다.
삶을 안정시켜 개인의 존재적 불안을 완화하는 것이 자아의 당연한 의무이지만, 변화를 예상하고 뛰어드는 갓 또한 삶의 본질임에는 틀림없다.
중년의 현실적 사고에 필요한 목표는 삶의 균형을 맞추는 동시에, 겸손하면서도 고귀한 우주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중간항로의 특징은 고루한 표현이긴 하지만 ‘현실적 사고realistic thinking’다. 현실적 사고는 우리에게 ‘관점’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