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판적인 수용형 독서를 되풀이하면 확실히 ‘박식한 사람‘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영역을 넘나들며 유연하게 지성을 발휘하는 지적 전투력을 획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학으로 어떤 영역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과 견해를 얻으려면 반드시 어느 정도 이상의 공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뇌과학에 대해 식견을 얻고 싶다면, 최소 다섯 권 정도의 입문서와 다섯 권 정도의 전문서는 읽어낼 필요가 있다. 어떤 영역이든 그 영역을 독학으로 공부하고자 한다면 최소한 열 권 정도의 인풋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스스로 자신이 안테나가 되어 받아들이는 인풋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학에서 인풋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책 읽는 것‘을 우선 떠올릴 것이다. 물론 책에 의한 인풋은 독학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소스가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정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어떤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삶에서 매우 중요한 ‘알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그저 삶에 필요한 것이 만족스러울 때나 그 반대일 때 느껴지는 어떤 것일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