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분을 관리하면 당신도 잘 살 수 있습니다 - 눈뜨는 것조차 버거운 사람들이 곁에 두고 읽어야 할 우울증・기분장애 관리 가이드
수전 J. 누난 지음, 류초롱 옮김, 양용준 감수 / 아날로그(글담) / 2022년 7월
평점 :
정도는 다르겠지만 우리나라 사람의 약 40%는 우울증을 겪었거나 겪고 있다고 한다. 감기처럼 가벼운 우울증이 있는가하면 폐렴만큼 진행되어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전보다는 우울증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아지고 더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우울증이나 기분장애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는 못할 수도 있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내가 우울증이나 기분장애를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책의 저자는 의사이기도 하고, 우울증을 실제로 겪었던 사람이기도 하다. 우울증이 무엇인지, 어떻게 그것을 판단할 수 있는지, 벗어나려면 어떻게하면 좋은지를 모두 10개의 챕터로 나누어 차근차근 설명했다.

이 책을 감수한 분의 추천사를 읽다가 마음에 남았던 문장이다. 우울증이 '마음의 감기'같은 것이라고 하는 말은 종종 들었다.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일텐데, 자칫 감기처럼 가볍게 여기지는 않을까 살짝 걱정스럽기도 했었다. 그 부분을 짚어내어 정도가 심화되면 약물 치료 등 치료를 권하는 내용이라서 공감했다. 그리고 감기도 감기약을 먹거나 치료를 받으면 더 빨리 나을 수 있겠으니, 아직 폐렴 수준까지는 가지 않은 수준의 우울증이라도 상담을 받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했다.

우울증에 대한 기사나 치료법에 대한 책들은 시중에서 정말 쉽게 접할 수 있다. 우울증을 겪고 있지 않은 사람들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데 정작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그 내용을 집중해서 읽고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게 아이러니하게 느껴졌다. 책에서는 그런 사람들이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아주 기본적인 것들을 차근차근, 순서를 아주 잘게 나누어 실천하기를 권한다.

이미 우리가 알고 있을 수도 있는 기본적인 방법들을 왜 기술하고 있는가에 대해 저자는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의욕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면 늦고, 하고 싶든 하고 싶지 않든 일단 몸을 움직여 실천하기를 권한다. 행동이 시작되면 의욕은 따라오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는 책 표지에서 봤던 '눈뜨는 것조차 버거운 사람들이 곁에 두고 읽어야 할' 책이라는 말을 새삼 다시 돌이켜보며 뜻을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던 부분은 우울증과 기분장애에서 벗어나기 위해 할 수 있는 행동들을 굉장히 세세하고 쉽게 제시했다는 것이었다. 앞사람과 대화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눈을 맞춘다'부터 알려주는 식이다. 심지어는 여러 체크리스트와 표까지 실려있어서 실천해야 할 행동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위 문장을 읽으면서 정말 단순하고 쉽게 제시하지 않으면 안되겠구나, 하며 방법들을 왜 그렇게 세세하게 수록했는지를 알았다.

혼자 조용히 있는 것을 좋아하는 나는, 책에 나온 '혼자 덧없는 시간을 한없이 보내는 것'과 내가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것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다. 그러다가 책에서 고립과 고독을 구분해놓은 부분을 읽으며 내가 시간을 보내는 방식은 고립이 아닌 고독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어렴풋이는 알고 있지만 정확히는 몰랐던 개념이나 상황들에 대해 책을 읽으며 구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시작할 때부터 우울증이나 기분장애는 질병이라고 단정 짓고, 책의 마무리 부분까지도 이 말은 여러번 반복된다. 일반 성인도 그렇지만, 특히 노년층에서 우울증 치료를 잘 받지 못하는 이유를 질병이 아니라 나약함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많아서라고 한 부분을 보고 많이 안타까웠다. 우울증은 당뇨병이나 심장질환과 같은 질병이므로, 치료를 받으면 더 나아질 수 있다.

아무리 획기적이고 좋은 치료법이 있더라도 당사자의 의지가 없으면 큰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우울증의 경우 의지를 발휘하기가 쉽지 않은 질병이라서, 작은 것부터라도 행동하며 의욕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자기 자신을 잘 돌봐야한다는 말이 책에서 자주 반복되는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이 파트를 읽으면서 예전에 어느 방송인이 죽고 싶었던 순간에 대해 말한 내용이 생각났다. 죽어야겠다고 생각한 순간은 글자 그대로 찰나였지만, 나중에 생각하니 그 순간을 이겨내지 못했으면 살아있지 못했겠구나 하고 생각했다고. 우울증은 단기간에 끝나는 질병이 아니지만, 죽겠다고 생각하는 순간은 일시적이라고 하니 문득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이번에 읽은 이 문장을 떠올려야 겠다고 생각했다.

나를 사랑하는, 우호적인 사람들과만 지내면서 어느정도 우울증이 호전되었다가도 명절이나 그 밖의 다른 일들로 나에게 우호적이지만은 않은 사람들을 만나면 또 악화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책에서는 그럴 때의 대처법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너무 무리한 기대에 부응하려고 한 적은 없는지, 나도 읽으면서 찬찬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우울증이나 기분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에게는 말할 것도 없이 큰 도움이 되겠지만, 지금은 그런 상태가 아닌 사람에게도 그랬다. 우울증이나 기분장애도 질병이기에, 자가 진단이나 해결 방법을 읽으면서 어느 정도는 그런 상황에 대비하거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지 않을까. 책을 읽다보니 그 당시에는 몰랐지만, 사실은 그때 나는 약한 우울증이었구나, 라고 여러 차례 깨달았다. 모르고 겪으면 힘들 수도 있겠지만, 질병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대응 방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다면 실제로 그 상황이 되었을 때 조금 더 수월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요즘 부쩍 마음이 힘들거나, 무기력한 사람이 있다면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