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다린다는 것
와시다 기요카즈 지음, 김경원 옮김 / 불광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야 정말 기다림의 즐거움을 잊고 있었다. 휴대폰이 보급되지 않았던 오래전. 남자든 여자든 누군가와 만날 약속을 잡고 약속장소에 나갈땐
그래도 즐거웠다. 약속 시간에 맞춰 정확이 와도 즐거웠고, 또 약속 시간이 한 참 지나 나타나도 즐거웠다. 간혹 약속 장소에 나오지 않아도 무슨
일이 있겠지 했던 그때는 대부분 느긋함이 있었다.뭐 그럴 수 밖에 없는 환경이 한 몫했겠지만. 성격 급하다는 소리를 듣는 나도 그 당시에는
느긋했었고, 사람들도 대개는 느긋함이 있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우리들에게 느긋함이 사라졌다.아마 또한 사람들에게서 인색함이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점차 각박해진 세상이 되었다. 요즘 시대를 사는 십대와 20대는 느긋함이 무엇인지 생각하지 못할듯. 왜 그럴까? 거기에는 기술의
발달이 한몫한듯 하다. 인간을 더욱 똑똑하게 만들고, 거기에 인간의 삶을 편안하게 해주겠다며 나왔던 스마트한 기기들이 오히려 우리를 옥죄기
시작했으니. 하루 24시간 잠잘때 빼고는 대부분 우리 인간들과 함께하는 스마트 기기들. 잠시라도 손에서 내려놓지 못하게 되어버리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장점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그중 하나가 바로 느긋함이 사라져 버린 것일거다. 빨리 빨리
문화 속 우리를 더욱 빨리 빨리 문화 속에 빠트려 헤어나오지 못하게 만들고, 빠른 답을 찾는게 가능해지면서 생각하기의 중요성은 점차 사라지고,
누군가와 만나기로 약속을 하지만 조금이라도 약속시간에 늦으면 어떻게 된 것인지 바로 확인을 하니. 예전처럼 여유를 가지고 느긋하게 기다리기는
무리인게 바로 요즘이다.
이건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도 마찬가지인 듯 하다. 기다리지 못하는 요즘 세태를 본 이 책의 저자 와시다 기요카즈는 기다리는 일도 한때는
즐거움이였던 시절은 지났지만, 무슨 일이든 빠른 성과를 원하며, 긴 안몫으로 내다보는 여유가 없어진 요즘을 사는 우리들에게 앞만 보고 달려가지
말고, 조금은 삶의 여유를 가지고, 느긋함을 가지라고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있다.
기다린다는 것이 연륜을 쌓아야 겨우 알 듯한 느낌이라는 저자의 말이 조금은 서글퍼진다.바쁜 일상을 살다보니 기다린다는 것이 무엇인지 잊고
있었던 1인으로써 상당히 반가운 책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