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12월
평점 :


우타르프라데시, 시칠리아, 몬트리올.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세 도시가 눈앞에 그려진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스미타, 줄리아, 사라의 모습도. 그들이 겪는 일상의 무거움이 내게도 같은 무게로 다가온다. 이 책의 원제인 ‘La tresses’는 ‘세 갈래로 나눈 머리카락을 서로 엇걸어 하나로 땋아 내린 머리’, 혹은 ‘세 가닥을 하나로 땋아 엮은 줄이나 끈’을 의미하는 것처럼 어느새 그들의 삶과 나의 삶이 얽혀 있음을 고백하고 만다.
스미타, 줄리아, 사라. 세 명의 여성이 겪는 삶의 무게와 고통과 절망을 남성인 내가 온전히 이해한다고, 공감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전적으로 그들에게 공감한다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그렇지만 그들의 삶이 얼마나 무거웠는지,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는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남성으로서의 삶도 그들과 그렇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인도의 불가촉천민으로 태어나 그 누구도 하고 싶어 하지 않을 일을 해야만 하는 스미타. 그런 자신의 삶을 아이에게 그대로 넘겨주기 싫은 그녀의 마음은 어느 부모의 마음과 별반 다르지 않기에.
잘나가는 변호사에서 암으로 점차 자신의 자리를 잃어가는 사라의 모습은 여성이기에 갖는 아픔만은 아니다. 그 누군가는 지금 이 순간 그녀와 동일한 아픔과 좌절을 겪으며 오늘 하루를 보내고 있을 지도 모른다.
줄리아. 전통과 관습에 얽매인 사회에서 자신의 길과 사랑을 찾아 나선 그녀의 모습은 모든 이들에게 동일한 희망과 꿈을 선사한다. 모두 자신의 길을 걸어갈 수 있다고.
세 사람 모두 자신의 길을 자신의 발로 천천히 걸어간다. 때로는 두려움에 넘치기도 하고, 때로는 아픔 속에서 좌절하기도 하지만 그들은 ‘아마존’이다. 결코 삶의 무게에 짓눌려 무너지지 않는 전사이다. 마지막 숨을 내뱉기까지 자신의 길을 나아가는 용사이다.
영화감독인 쓴 첫 소설이기에 영화의 장면들을 연상시키는 묘사들이 많다. 그런 점이 소설에 더욱 깊이 빠져들게 한다. 영화 속으로 빠져들고, 그들의 삶 속으로 빠져들고. 또 다시 나의 삶을 그들의 삶에 덧붙여 함께 나아가게 하고.
첫 슬픔이 힘차게 날갯짓하는 나비의 펄럭임으로 끝난다. 이 소설이 좋았던 가장 큰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