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브레인 - 삶에서 뇌는 얼마나 중요한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전대호 옮김 / 해나무 / 2017년 7월
평점 :
‘뇌’라는 말을 들으면 가장 먼저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가? 내게 있어서 ‘뇌’란 소위 말하는 머리가 좋다는 의미로 사용될 때의 머리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였다. 예전에는 IQ로 대변되기도 했던 총명함의 근원이 바로 뇌라고 생각했다.
그런 ‘뇌’는 어렸을 때 이미 모든 게 결정된다는 생각이 강했기에 뇌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다. 그저 내게 주어진 ‘뇌’의 용량대로 살면 그뿐이라고 생각했을 뿐이다. 그러다 최근 들어서 ‘뇌’도 적절한 훈련을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글을 보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과연 나이가 들어서도 ‘뇌’의 활성화가 가능할까‘라는 궁금증과 함께.
이 책은 그런 내게 ‘뇌’란 부위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제대로 이해하게 이끌어주었다. ‘뇌’라는 영역이 조금은 친숙하지 않아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있었지만 막상 책을 읽기 시작한 후에는 그런 걱정이 싹 사라졌다. 그만큼 초보자들이 읽어도 어렵지 않을 정도로 설명이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는 책이다.
저자 데이비드 이글먼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신경과학과 부교수이자 베스트세러 작가로 PBS의 TV 프로그램의 진해을 맡아 뇌과학의 최신 이슈들을 쉽고 흥미롭게 소개한 이력 그대로 이 책에서도 뇌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다양한 사진, 그림 등과 함께 독자의 지적 호기심을 일깨운다.
기억에 관한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로웠다. 과거에 결코 경험하지 않았던 가짜 기억도 주입을 통해 마치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던 것처럼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은 충격에 가까웠다. 그렇다면 내가 지금 기억하고 있는 과거의 내 모습은 진정한 나였을까, 혹은 누군가가 만들어낸 아니면 내 스스로 주입한 상상 속의 나일까?
또 하나 흥미로웠던 내용은 불멸에 관한 것이었다. 커넥톰이라는 패턴을 되살려 한 인간을 되살리고자 하는 과학적 시도는 이미 많은 영화에서 보았던 내용이었지만 상당히 흥미로웠다. 물론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런 시도를 통해서도 한 사람이 생전에 가졌던 의식을 되찾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뇌’란 참으로 신비한 영역이다. 그렇기에 뇌의 모든 활동 영역을 알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뇌라는 신비로운 세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떤 활동을 하는지를 배울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내 자신이 누구인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