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 미 배드 미 ㅣ 미드나잇 스릴러
알리 랜드 지음, 공민희 옮김 / 나무의철학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읽는 내내 조마조마했다. 밀리라는 이 아이가 도대체 무슨 짓을 저지른 것인지, 이 아이의 내면 깊은 곳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인지, 이 아이를 둘러싼 사람들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생각하면 왠지 모를 두려움, 섬뜩함이 느껴지면서 공포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밀리는 분명 피해자이다. 9명의 아이를 죽인 엄마의 살해 행각에서 그녀는 아이들을 구할 수도 없고, 엄마를 말릴 수도 없었던 자신을 자책하는 희생자이다. 그런데 작가는 그녀의 내면을 조금씩 비춰주면서 정말 그런지, 밀리가 정말 선한(굿) 아이인지 아니면 악한(배드) 아이인지를 확인해 보라고 한다.
열여섯 살 생일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밀리는 아홉 명의 아이를 죽인 엄마를 경찰에 고발한다. 그녀는 놀이방이라고 불리는 장소에서 엄마가 아이들을 살해하는 장면을 목격한 증인으로 법정에 출두하기로 한다. 법정에서 증언할 때까지 마이크의 집에서 지내기로 한 밀리는 마이크의 딸인 피비와 처음부터 좋지 못한 관계를 맺고 만다. 반면 마이크의 집 근처에 사는 모건과는 서서히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
소설은 밀리가 엄마의 살인을 되짚어보는 과거의 이야기와 마이크의 집에서 일어나는 현재의 이야기가 얽히고설키면서 마지막을 향해 나아간다. 이런 흐름 속에서 마냥 희생자로만 생각했던 밀리가 어쩌면 단순한 희생자만은 아니라는 의심이 들기 시작한다. 마지막 희생자인 대니얼을 죽인 사람을 둘러싼 법정 공방이 이런 의심을 최고조에 이르게 한다.
이 소설의 묘미는 항상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출할 수 없었던 밀리가 마이크의 집으로 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내면을 통해 과연 밀리의 본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언뜻 그녀를 선하다고 말할 수도 있고, 악하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소설을 다 읽은 후 곰곰이 생각하면 그렇게 쉽게 그녀를 선하다고도, 그렇다고 악하다고도 말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엄마라는 세계에 갇힌 애니(밀리)의 행동은 그녀 자신의 의지일까? 아니면 그녀에게 주어진 유전적 요인일까? 아니면 그녀를 둘러싼 환경 탓일까? 이런 의문은 끝없이 이어지는 환경과 유전 논쟁의 연장선에 있기에 단정적으로 대답하기 어렵다. 어쩌면 영원히 답을 찾지 못할 지도 모르고.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과 게임을 벌이는 밀리는 당신이 생각하는 그런 아이가 아닐지도 모른다. 아니 어쩌면 우리는 상상을 초월하는 새로운 사이코패스 혹은 소시오패스를 만날 것이지도 모른다. 섬뜩하면서도 궁금한 그녀의 이야기, 당신은 새로운 심리의 세계로 빠져들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