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꽃도 꽃이다 2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6년 7월
평점 :
학원 강사로 일하던 시절에 사람들에게 늘 하던 얘기가 있었다. 공교육이 살아나야 한다고. 학원 강사가 입에 담아서는 안 될 얘기(?)일지도 모르지만 나는 늘 그렇게 말했다. 공교육이 살아나지 않으면 이 땅에 미래가 없다고.
교육은 누구에게나 공평해야 한다. 공평하기 위해서는 사교육보다 공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당연히 차별이 생길 수밖에 없으니까. 이 책에 2권에서도 그런 상황을 다룬다. 부모의 부에 따라 가난한 집 학생이 결국은 성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
부모의 경제력이 아이들의 장래를 결정하는 사회는 분명 문제가 있는 사회이다. 작가는 이런 사회를 석우라는 학생을 통해 우리에게 들려준다. 개천에서 결코 용이 나지 않는 시대, 합법적 불법의 약육강식이 도입되어 개천에서 태어난 용의 씨를 말리고 있는 현실을.
이처럼 2권에서도 작가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교육 문제를 하나하나 꼬집어 설명한다. 작가가 그린 교육 현실을 나는 전혀 알지 못했던가? 결코 그렇지 않다.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내 일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일로만 치부했기에 그런 사회의 불평등을 너무나 쉽게 용인하고 있었다.
1부에서 이어진 자발적 문화식민지에 관한 이야기, 자신의 꿈을 찾아 나선 아이들에게 어설픈 엘리트 의식에 빠져 정형화된 틀만 제시하는 부모들, 대물림 되는 가난 속에서 생활 전선으로 뛰어든 어린 학생들, 이런 학생들을 등쳐먹는 악덕 업주들. 이런 악순환이 계속되는 건 무엇 때문일까?
작가는 그 이유가 끝없는 부모의 경쟁의식 때문이라고 말한다. 부모의 광적인 경쟁의식이 자발적 문화식민지를 만들고, 엘리트주의에 빠진 사회적 흐름이 학교에서 올바른 교육이 사라지게 만들었으며, 정형화된 삶의 모습이 미래를 만들어갈 학생들에게서 꿈과 비전을 빼앗았다.
이런 현실을 타파할 답은 없는가? 작가는 2권에서 이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제시한다. 현실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대안학교, 혁신학교 등이 바로 그 답이다. 이를 통해 아이들이 마음껏 자신의 꿈과 비전을 펼칠 수 있는 미래가 열릴 것이라고 작가는 주장한다.
여기서 다시 작가의 퀴즈를 돌아보자. 앞서 1권에서는 교민의 뜻을 교감하는 민족(민중)이라고 추측했지만 2권을 읽어보면 주인공 강교민의 이름이 지닌 뜻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작가가 이 소설을 통해 주장하는 내용이 담긴 강교민이라는 이름은 강력할 교육 민주화의 첫 글자들을 따서 지은 이름이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나는 강교민의 의미를 이렇게 생각하고 싶다. 강물처럼 교감하는 민중(민족). 교육 민주화와도 연결이 되는 의미이지만 이 책에서 계속 드러나는 현실의 문제 중 하나가 바로 교감이기 때문이다. 부모와 자녀 간의, 선생과 학생 간의, 학생과 사회 간의, 학교와 정부 간의 교감. 모든 물줄기를 받아들여 흐르는 강물처럼 우리 사회의 교육에도 모두의 생각이 통하는 그런 물줄기가 흐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는 강물처럼 교감하는 민중이라 생각하고 싶다.
교육을 가리켜 백년대계라고 한다. 이 땅의 교육이 정말로 그러한지 우리 모두 돌아보아야 할 때다. 하나의 촛불이 이 땅에 새로운 역사를 가져왔듯이 한 사람의 깨어진 생각이 우리의 미래를 분명하게 그려줄 것이다. 모든 아이들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 그 일을 즐겁게 해나가면서 보람과 행복을 느끼는 인생을 사는, 그런 미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