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루클린의 소녀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기욤 뮈소의 작품은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고 일단 읽는다. 그의 작품은 이미 수많은 검증을 거쳤기에 읽을까 말까를 고민할 필요가 없다. 탄탄한 스토리와 상상을 뛰어넘는 반전, 그 속에 담긴 문제의식 등 모든 요소들이 내 마음에 쏙 든다.<브루클린의 소녀>도 그런 마음으로 읽었다.
결혼을 얼마 남기지 않고 여행을 떠난 라파엘과 안나. 사랑하는 사람의 모든 것을 알고 싶었던 라파엘은 안나에게 숨기고 있는 비밀이 있으면 솔직하게 말해달라고 한다. 그의 말에 안나는 숨기고 있던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사진을 보여주는데, 사진을 본 라파엘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안나를 떠나버린다. 자신의 잘못을 깨달은 라파엘은 안나가 있는 곳으로 바로 돌아오지만 안나는 벌써 파리로 떠나버린 상태이다. 파리로 돌아온 라파엘은 안나가 사라진 것을 알고 그녀를 찾아 나서고 그와 이웃사촌인 전직 형사 마르크도 그를 도와 안나를 찾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하는 안나의 과거 이야기. 하인즈 키퍼 사건, 클레어 칼라일 사건, 조이스 칼라일 사건. 생각하지도 못했던 사건들이 연이어 드러나기 시작한다.
사랑하는 사람의 모든 것을 알고 싶었던 한 남자의 바람은 미국과 프랑스를 뒤흔들 정도의 굵직한 사건과 연결된다. 실제 이럴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 그 흘러가는 과정이 너무나 자연스러워 나도 모르게 이야기에 빠져든다.
라파엘과 마르크의 시선을 따라가는 이중 구조로 사건의 현실성을 높이고 , 클레어, 테드의 고백을 들려주며 사건의 개연성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플로랑스 갈로의 이야기들을 덧붙이면서 사실성을 뛰어 넘기도 한다.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지만 나름의 반전을 통해 독자의 허를 찌르기도 한다.
재미있는 내용 중 하나는 우리나라 독자를 의식해서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 범죄 영화, 한국계 미국인 수사관 등을 집어넣었다는 것이다. 소설을 이끌어 가는데 그렇게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자는 평상시에 말했던 것처럼 이 소설에서도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자기가 사랑하는 여인의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과거가 그녀에 대한 사랑을 변하게 하는지, 다시 말해, 라파엘이 새롭게 알게 된 그녀를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것이 마지막까지 흥미진진하게 책을 읽게 되는 이유 중 하나다.
마지막으로 한 마디만. 소설을 너무 재미있게 읽었지만 너무 아쉬웠던 것은 아이들의 겪어야 했던 고통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테오에게도 무슨 일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너무 조마조마했다. 루이즈의 이야기에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고. 아이가 건강하게, 행복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부모이기에 이런 내용의 소설은 너무나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짜릿한 기쁨 속에 슬픔이 담긴 소설. 그러면서도 다시 행복을 이야기하는 소설. 이 소설은 바로 그런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