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과 중력가속도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11월
평점 :
<맛집 폭격>이라는 소설로 배명훈 작가를 처음 만났을 때 낯선 느낌에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작가마다 각자의 색깔이 있고, 들려주는 이야기도 다르기에 그저 그런가 보다 하며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배명훈 작가는 달랐다. 무언가 계속해서 파보고 싶다는 그런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그 후에 다시 읽은 책은 <가마틀 스타일>이다. 역시 배명훈 작가의 작품 세계는 남다르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SF라고 보아야 할지, 그냥 순수 문학 작품으로 보아야할지 판단하기 어려운 묘한 그의 세계 속으로 점점 더 깊이 빠져들면서 궁금증이 더해졌다. 이 작가는 도대체 무얼 말하고 싶은 걸까?
이번에 다시 그의 작품을 만났다. <예술과 중력가속도>. 앞서 읽은 작품이 장편과 중편 정도의 소설이었다면 이 책은 그가 낸 단편들을 모은 작품으로, 이 책에는 그의 데뷔작인 ‘스마트D’를 포함해 모두 10편이 실려 있다.
이 책을 뭐라고 말해야 할까? 고민에 고민을 더했지만 참 쉽지 않다. 뭔가 딱 한 마디로 표현하고 싶은 데 입술에서 맴돌며 제대로 나오지가 않는다. 그의 색깔이 너무 강해서일까? 아니면 그의 색깔이 너무 모호해서일까?
일단 그의 색깔이 강하면서도 모호한 이유는 그가 소설에서 다루는 분야가 인문학, 고고학, 사회과학, 과학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기 때문이다. 한 분야만 해도 만만한 작업이 아닌데 이런 여러 분야를 버무려 새로운, 그것도 소설의 형태로 만들어낸 작가를 어떻게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있을까!
10편의 작품들이 각각 다른 듯하면서도 비슷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저자 특유의 유머러스한 분위기가 소설 곳곳에서 묻어나오기도 하고 전체적인 분위기가 옛날 누런 종이에 인쇄된 과학 만화를 보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도 한다.
가장 강렬한 느낌으로 다가온 작품은 데뷔작인 ‘스마트D’였다.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자판 D를 사용할 수 없는 세상. 테러 방지를 명목으로 모든 문서를 감시하는 거대 기업. 이에 저항하는 여자 친구와 그녀의 소설을 공모전에 보내고자 하는 그. 상상 속 이야기지만 왠지 모르게 섬뜩하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도 그렇지 않은가 해서.
독점할 수 없는 무언가를 독점한다는 사실에서도. 그런 사실조차 제대로 깨닫지 못한다는 점에서도. 하지만 세상 어딘 가에서는 누군가가 그런 부당함에 저항한다는 사실에서도. 때로는 그런 부당함에 대한 저항이 감당할 수 없는 폭풍으로 다가온다는 점에서도.
작가의 세계관을 이해하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이 책에 담긴 단편들을 제대로 곱씹어 볼 그런 시간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