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똥찬 로큰롤 세대
로디 도일 지음, 정회성 옮김 / 나무옆의자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이 눈길을 끈 이유는 제목에 있다. <기똥찬 로큰롤 세대>. ‘기똥찬’이라는 단어도 그렇고, ‘로큰롤 세대’라는 단어도 그렇고 딱 우리 세대의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어서였다. 요즘 세대도 ‘기똥찬’이라는 말을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말은 정말 내가 어렸을 때 쓰던 단어였다. 또한 ‘로큰롤’이라는 말은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 세대를 아울렀던 문화 코드였다. 한 번쯤 밴드를 꿈꾸지 않았던 친구가 없었을 정도로 말이다.
우리 시대의 즐거운 이야기를 생각했는데 이게 뭐지. 처음부터 나를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대장암에 걸린 주인공. 헉, 죽음에 관한 이야기였던 거야? 물론 죽음이라는 단어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나이는 아니다. 그렇지만 아직은 죽음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리고 싶지 않은 나이인데. 흠, 이건 아니지 않나?
죽음만을 이야기하기에는 우린 젊은 세대다(물론 남들은 그렇게 보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런데 우리는 스스로 우리의 젊음을 잊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다. 매순간 무엇을 바라는지도 전혀 깨닫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그냥 흘려보내고 있다.
갑자기 내 모습을 돌아본다. 나는 지금 무얼 하고 있는 걸까? 지금 이 순간 내가 하는 일은 누구를 위한 걸까? 나는 지금 이 순간이라는 가장 귀중한 시간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 걸까? 나는 여전히 나를 위한 꿈을 꾸고 있는 걸까?
어느 순간 나 자신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는 내 모습이 보인다. 죽음을 생각하기 전까지 너무나 평범한 삶을 살았던 지미처럼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매일 똑같은 삶을 이어나가는 내 모습이 보인다. 열정도 사라지고, 꿈도 사라진 그런 모습.
이제는 꿈을 꿀 수 없는 나이가 된 걸까?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나도 그렇고. 죽음처럼 강력한 계기가 없다면 대부분의 중년들은 그저 그렇게 모든 것을 잊은 채 평범하게 살아간다. 하지만 이제 눈을 돌리자. 자기 자신에게로 말이다. 그렇게 자신의 꿈을 다시 그리는 순간이 바로 우리가 우리와 함께 하는 가족, 친구들을 더욱 진실하게 대할 수 있는 시간이다.
죽음이라는 소재를 음악과 엮으면서 무겁지만은 않은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소설이다. 중년에 이른, 혹은 꿈을 잃어버린, 혹은 무의미한 일상의 삶에 지친 이들에게 따뜻한 온기를 전해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