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릉 ㅣ 윤후명 소설전집 1
윤후명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4월
평점 :
누구에게나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장소가 있다. 자신이 태어난 곳일 수도 있고, 가장 힘들었을 때 지내던 곳일 수도 있고, 누군가와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며 행복을 느끼던 곳일 수도 있다. 윤후명 작가에게 강릉은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그런 장소이다.
윤후명 작가의 책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니라서 작가의 삶이나 사상에 대해 아는 바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솔직하게 말하자면 그의 작품은 ‘하얀집’ 단 한 편만을 읽었을 뿐이다). 작가의 고향이 강릉이라는 것도 몰랐고, 작가가 소설가로 활동하기 전에 이미 시인으로 등단했던 사실도 알지 못했다.
누군가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그가 살아온 삶의 발자취, 생각의 흐름 등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이 작품은 그런 점에서 윤후명 작가를 이해하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작가의 말처럼 강릉은 작가의 존재와 철학을 가리키는 처음과 마지막이다. 그렇기에 작가는 ‘윤후명 전집’의 첫 권으로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어렵다. 이 책의 내용은 작가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속에 그가 소설가로서, 또한 시인으로서 살아온 삶의 여정과 철학이 담겨 있기에 한 번에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다. 10편의 이야기가 각각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한 편으로 일관된 이야기의 흐름을 보여준다.
처음에 읽을 때 호랑이나 처녀 머리 등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적지 않았다. 도대체 작가가 이런 표현을 쓴 이유가 무엇인지? 이들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지? 역시 누군가를 알아간다는 것, 특히 작가를 알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만이 머릿속을 가득 채울 뿐이었다.
곳곳에서 작가의 시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어서 소설과 시를 넘나들며 독자를 또 다른 세계로 이끌어간다. 아마 이 작품이 아니었으면 윤후명 작가의 시를 따로 읽을 기회가 없었을지 모르기에 소설 속에서 만난 그의 시가 더욱 반갑고, 더욱 가슴 깊이 다가왔다.
책을 읽다 내가 어렸을 때 살았던 동네를 떠올려본다. 이제는 개발이 되어 옛 모습을 전혀 찾을 수 없는 그 곳. 그렇지만 여전히 내 머리와 가슴에서 살아 숨 쉬며 나를 키우고 나를 만들어준 그곳의 추억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 시절, 그 곳, 그 사람들.
내게 다시 그 옛날의 추억을 돌려준 고마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