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힉스 - 신의 입자를 찾아서 ㅣ 한림 SA: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20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편집부 엮음, 김일선 옮김 / 한림출판사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너무 만만하게 생각했나보다. 한림 SA 시리즈가 연구자들뿐 아니라 과학을 좋아하는 일반인들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에 무턱대고 덤벼들었다. 그런데 이 책은 앞서 읽었던 책들과는 조금 다르게 다가왔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이해하는 게 정말 힘들었다.
힉스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단어만 한두 번 들어본 정도이다. 그런데도 ‘어려워봤자 얼마나 어렵겠어’라는 마음으로 당당하게 첫 페이지를 펼쳐들었다. 헉, 이게 왠일인지. ‘들어가며’에 실린 2페이지의 내용도 쉽게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래도 포기할 수는 없었다. ‘힉스’에 대해 궁금한 건 사실이니까. 1부 표준 모형, 2부 분명히 존재하는 입자, 3부 계속되는 탐색, 4부 게임은 진행 중, 5부 힉스 입자를 넘어서, 총 5부로 구성된 책을 읽는데 1부를 보다 어려워 2부로, 2부를 보다 역시 어려워 3부로, 이렇게 왔다 갔다 하면서 읽다보니 내용은 더욱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았다.
물질의 기본 구성 요소와 이들이 상호작용하는 기본 힘을 설명하는 표준모형을 먼저 알아야 진도가 나갈 수 있음을 깨닫고 인터넷으로 찾아보기 시작했다. 여전히 어려웠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표준모형에 의하면, 물질은 쿼크와 경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의 4가지 힘을 통해서 상호작용한다. 다만 표준모형은 아직 완성된 이론이 아니다. 바로 힉스 보손 때문이다. 힉스 보손은 모든 기본 입자의 질량을 만들어내는 입자로 여겨지지만 아직 이를 증명할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힉스 보손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면 우주를 설명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즉, 힉스 보손을 통해 우주론이 얼마나 실제적인지를 증명할 수 있다고 한다.
책에 실린 다양한 논문들 중 이해할 수 있는 논문이 여전히 많지 않지만 호기심이 더 커진 것만큼은 분명하다. 물론 연구자가 아닌 일반인으로서의 호기심 정도이지만. 앞으로 조금 더 찾아서 공부해보련다. 힉스 보손이 어떤지, 언제 그 존재가 증명될지 관심을 가지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