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 - 우치다 다쓰루의 혼을 담는 글쓰기 강의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 / 원더박스 / 2018년 2월
평점 :
글을 쓴다는 건 참 어렵다. 쓰면 쓸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도대체 왜 그런 걸까? 다른 사람들의 눈길을 확 사로잡을 정도의 아름다운 문장을 만들지 못해서, 아니면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를 그려내지 못해서? 그런 면이 전혀 없다고는 말하지 못하겠지만 그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도 말할지는 못하겠다. 도대체 글쓰기는 무엇일까?
얼마 전에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의 삶을 빗대어 읽기와 쓰기에 대한 책을 읽었다. 그 책에서 말한 내용을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마음이다. 마음에서 비롯되지 않은 글쓰기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이다. 당연한 이치지만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던 내게는 상당히 큰 충격을 준 내용이었다.
다산과 연암에 관한 책을 읽은 후 다시 한 번 글쓰기에 관한 책을 읽었다. 이번에 읽은 책은 일본의 대표 사상가로 문학, 철학, 교육, 정치 등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우치다 다쓰루의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이다.
대가들은 보는 시각은 비슷한 걸까? 이 책에서 저자가 주장하는 바를 한 마디로 설명하자면 글쓰기란 독자에 대한 경의, 즉 마음을 다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놀랍지 않은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지성인이 말한 글쓰기의 본질과 일본을 대표하는 지성인이 찾은 글쓰기의 본질이 다르지 않다. 세부적인 사항이나 이를 표현하는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말이다.
마음을 담은 글쓰기,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님은 분명하다. 저자가 말하듯이, 현대 교육의 영향으로 적당히 최저점을 넘길 정도의 글쓰기에 익숙한 우리들에게 마음을 담아 자신을 뚫고 나아가는 글쓰기는 참으로 험난한 여정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독자에 대한 경의(자신안의 타자이든 외부의 타인이든)를 담은 글쓰기만이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글이 될 것이다.
굉장히 피상적인 주제라고 생각해 어렵게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이 책은 어지간히 소설들보다 훨씬 술술 읽힌다. 저자가 고베여학원대학에서 진행한 강의 내용을 마치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처럼 서술하였기에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무엇보다 이 책을 저자의 의도에 많은 부분 공감하였다. 일본에서 점점 그 힘을 잃어가는 모국어의 모습을 보면서 이 책을 집필했다는 저자의 말처럼 온통 영어와 이상한 외계어가 판을 치는 우리나라에서도 영어가 한글의 힘이 점차 사그라지는 느낌이다. 이런 시대에 모국어를 풍부하게 하여 지적 창조성을 키워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일본 뿐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들도 귀 기울여야 할 사안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