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 - 과학과 인문학의 논쟁 그리고 미래
프리먼 다이슨 지음, 김학영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프리먼 다이슨이 누구지? 처음 듣는 이름에 일단 고개를 갸웃거렸다. 과학 분야에 대한 지식도 많지 않고, 그렇게 많은 관심이 있는 편도 아니어서 과학 분야 서적을 일부러 찾아 읽을 정도는 아니다 보니 저자의 이름이 낯설기만 하다.
그렇게 낯선 이름의 저자가 쓴 <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라는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의도된 실수’라는 저자의 의도가 정말 궁금했고, 그만큼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에 자신이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어서였다.
프리먼 다이슨은 20세기의 과학 부흥을 이끈 천재 물리학자란다. 솔직히 이런 표현 조금 부담스럽다. 과학 서적들을 쓴 저자들을 소개하는 글을 보면 대부분 빠지지 않고 ‘천재’라는 표현이 사용한다. 천재라는 표현 자체에서 알게 모르게 무언의 ‘벽’을 느끼기 때문인지 아니면 ‘천재’라는 표현을 너무 남발한다는 생각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그렇게 유쾌한 기분이 아닌 것은 사실이다.
천재 물리학자 파이슨이 이 책을 낸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의 독자들에게’ 보낸 글에서 저자는 자신의 글이 지금까지 ‘진실’이라고 믿었던 것들에 반기를 든 내용이라고 말한다. 저자의 성격이 보이는 듯한 이 문장에 앞서 느꼈던 거부감이 일순간 모두 사라졌다. 모두가 진실이라는 것에 대한 반기를 든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실제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뉴옥 리뷰 오브 북스>에 실린 서평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서평이지만 단순히 책 소개하는 글은 아니다. 역사적인 책들과 그 속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간들, 그들이 이룬 역사적 사건들을 소개하는 글이다.
21편의 글들은 여타의 서평과는 상당히 다르다. 분량적인 면에서도 그렇게 적지 않다(대부분 20 페이지 이상). 또한 각 글 마지막에 실린 분노의 편지로 저자의 글이 어떤 반향을 불러일으켰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저자가 천재 물리학자인지는 문외한이 나로서는 판단할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그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깊이 쌓았는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그만의 시각을 거침없이 내세우며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기도 한다.
책을 읽고 서평을 쓰는 이들에게 시사하는 바도 적지 않다. 어떻게 책을 바라보고, 어떤 글을 써야 독자들에게 유익할지 프리먼 다이슨의 글을 읽고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글이란 누군가와 나누는 깊은 교제의 수단이기도 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