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리 혁명 : 센세이션 - The Revolution ㅣ 허주 명리학 시리즈 3
김성재 지음 / 북랩 / 2021년 9월
평점 :
필자도 대학교 부터 시작해서 명리학과 주역을 공부한지 어언 30년이 지났다. ( 미친 사람으로 들리겠지만 나는 귀신및 조상신과 면전에 두고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박수무당 이라고 한다. 하지만 천기누설 때문에 어떠한 책도 출간은 하지 않는다.)
우연히 대학 도서관에서 책을 보다가 동양철학 관심이 있어서 사서삼경을 공부하고 불혹의 나이때 부터는 집중적으로 명리학을 공부 했다. 지금은 지천명이 된 나이에도 끊임없이 공부하고 있다.
우리 주변을 보면 나는 왜 이렇게 되는 일이 없을까? 나이만 먹었지 왜 이 모양일까? 남들의 인생은 다 그럴싸해 보이는데, 내 인생은 찌질하게 왜 이리 초라하고 서글프기만 한 걸까?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근본적은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딱히 그럴만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당신이 현재 살고 있는 언행이 그 원인일 수 있다.
사주팔자는 타고난 나의 그릇이고, 운은 내가 가는 길이다. 많은 사람들이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하지만, 그렇게 쉽게 바뀔 운명이라면, 그렇게 힘들게 노력을 하는데 그 모양 그 꼴로 삶이 개선되지 않고 왜 거지처럼 힘들게 살아야 할까..
운명을 바꿀 수 있다면 애초에 운명이라고 이름 짓지 말았어야 할 일 아닐까? 그래서 우리는 공부를 계속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우주의 질서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좋고 나쁜 때를 가려, 좋을 때는 좋지 못할때를 대비하고, 어려울 때는 머지않아 좋을 때가 올 것을 믿고 좌절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누구나 인생을 살다 보면 오직 시간만이 지나가는 것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무기력한 순간을 겪게 마련이다.
그럴 때일수록 자신의 천성과 기질을 잘 파악하고 때를 기다리는 것, 그리고 정성을 다해서 좋은 공간을 만들면 어느새 운의 힘이 생기고 만들어져 하나하나 쌓이게 되어 세상 속에서 당당하게 행복해질 수 있게 된다.
명리학은 결코 쉬운 학문은 아니다.하지만 어렵기만 한 학문도 아니다. 관통하는 원리와 순환하는 질서를 파악하고 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자가 명리학을 대하는 자세, 명리학을 배우려는 이들에게 전하는 솔직한 조언 등이 가득하다.
기존의 명리학책들 비해 어렵지 않게 쉽게 쓰여 있어 초보자들도 즐거운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책이다. 명리학에 관심이 있거나, 명리학을 배워보려는 분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된 그만의 재치 있는 명리학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면 어떨까.
📚 책속으로: 카톡 씹는 이유로보는 명리학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주를 알면 좀 더 실체적인 진실에 접근할 수가 있다. 음양오행과 십신, 원진, 귀문을 통해서 그 사람의 성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木, 火 위주로 구성된 사주일 경우 톡을 씹을 가능성이 많다. 목화는 양 운동을 하는데, 양은 내실보다는 외형과 스케일을 중시한다.
카톡을 수시로 확인하고 이에 맞는 답톡을 보내주는 것은 디테일에 해당되는데, 디테일이 부족하다.
금수가 내면의 깊이를 추구한다면 목화는 외면의 확장을 추구하는 성향이라 그렇다. 어린이, 청년처럼 덜렁대고 외면의 확장과 주변의 변화에 몰두하느라 놓칠 수가 있다. 또한 핸드폰을 잘 분실하기도 하고 떨어드려서 고장나기도 한다.
편인이 중중한 사주일수록 톡을 씹을 가능성이 많다. 편인은 의심하는 성향이고, 고민하는 성향이다. 편인이 톡을 씹는 이유는 위의 목화처럼 못 봐서가 아니다. ‘이 사람의 톡이 무슨 뜻일까?’, ‘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혼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치다가 톡을 보낼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나중에 보내려니 자존심 상하고 ‘뭐 아쉬우면 다시 오겠지’ 하다가 끝나버리는 경우다. 망설이고 주저하고 고민하다가 인연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때로는 카톡의 내용을 보기 싫어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신이 잘못하거나 상대방과 트러블이 있을 경우 상대에게서 오는 톡을 보기가 두렵기 때문이다. 읽씹하기도 하지만 아예 확인을 안 누르는 경우도 많다.
#명리혁명 #센세이션 #허주명리학 #동지세수설 #명리학 #명리혁명센세이션